6·25전쟁에 참전한 유엔 회원국들은 전쟁이 발발한 이후 저마다 처한 안보상황을 고려해 파병을 결정했다. 의료지원부대를 파견한 국가들은 유엔헌장에 명시된 “세계의 평화와 자유를 수호한다"는 대의를 따라 참전을 결정했다.
북유럽 스칸디나비아반도에 위치한 스웨덴은 중립정책을 표방하는 영세중립국이었으나 1개 야전병원단의 파견의사를 밝혔다. 1950년 8월 28일 스톡홀름을 출발한 야전병원단은 1950년 9월부터 1957년 4월 철수할 때까지 6년 6개월 동안 지원하는 등 6·25전쟁에 파견된 의료지원부대 중 가장 오랫동안 한국에 머물면서 많은 중환자를 치료했다.
중립노선 국가인 인도는 유엔의 민간인 구호결의에 찬성해 의료지원부대 파견을 결정했다. 란가라지 중령이 지휘한 제60야전병원은 1950년 11월 20일 부산에 상륙해 영국 제27여단을 지원했다. 인도 야전병원은 수준 높은 의술을 발휘해 한국 정부 등으로부터 많은 훈장을 받았다.
덴마크 정부는 유엔 회원국 중에서 제일 먼저 지원의사를 밝혀 왔다. 병원선 유틀란디아(Jutlandia)호는 1951년 1월 23일 함머리치(Kai Hammerich) 준장의 지휘 하에 덴마크를 떠나 전장에서 많은 환자들을 진료했다. 특히 이 병원선은 8개월마다 본국으로 귀국해 재정비한 후 재차 파견되었다.
노르웨이 정부는 해상운송지원을 제의했으며, 이어 적십자를 통해 지원금과 의류 등을 보내왔다. 노르웨이 적십자가 편성한 이동 외과병원은 1951년 5월 31일 자국을 출발해 한국에 도착한 후 동두천에서 미 제1군단을 직접 지원해 부상자들을 치료했으며, 군인은 물론 민간인들을 위한 외래환자 진료소도 설치·운영했다.
6·25전쟁 발발 당시 이탈리아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창설국이었으나 유엔 회원국은 아니었다. 더구나 빈번한 내각 경질로 국정이 불안했으나 적십자연맹의 요청에 따라 의료지원부대를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이탈리아 제68적십자병원은 1950년 10월 16일 자국을 떠나 1개월 만에 한국에 도착했다. 부산에서 시작한 이탈리아 제68적십자병원은 1950년 12월 서울로 이동하였고,1953년 정전협정 이후 1년간 치료 업무를 계속하였다.
유엔 비회원국이었던 독일(당시 서독)도 의료지원 활동을 하였다. 서독 정부는 1953년 4월 야전병원 파견을 미국과 유엔에 제의한 뒤, 1954년 5월부터 1959년 3월까지 부산에 적십자 병원을 설립하여 운영하였다. 5년간 서독 적십자 병원은 입원환자 및 외래환자를 포함 약 30만명 이상의 환자를 치료하였다
출처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6·25전쟁과 유엔군>, 2015 ; 조성훈, <6·25전쟁시 독일 의료지원단 파견과 성과>, <<향도부산>>, 제36호,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