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국가보훈

유엔 참전국의 국내외 기념시설물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현충시설의 지정·관리 등에 관한 규정」(2014년 1월 21일 시행, 대통령령 제25113호, 2014년 1월 21일 일부개정)
배경
1950년 6월 27일 UN 안전이사회는 국제평화와 한반도 안전을 위해 한국에 군사원조를 제공하기로 결정하고, UN 안보리는 7월 7일 UN회원국 군대를 통합지위 할 UN군을 창설하여  UN 창설 이래 처음으로 UN기를 앞세워 21개국이 6.25 전쟁에 참전하였다. 당시 미국을 비롯한 16개국이 전투 병력을 파견하고, 5개 국가가 의료지원을 보냈으며, 40여 개국은 물자를 지원했다. 전쟁기간 이들 다국적군으로 참전한 UN군 참전용사들은 ‘알지도 못하는 나라, 만나지도 못한 사람’들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전장이나 후방지원에 목숨을 바쳐 명예롭게 싸웠으며, 그 인명피해는 6.25전쟁 인명피해 총 776,360명 중 154,881명을 차지했다.
경과
휴전 이후 UN군에 참여한 각 나라는 참전 기념물을 설치해 희생 장병들을 추모했다. 가장 많은 병력을 파병한 미국을 포함한 참전국 19개국들은 자국 내에 UN군 참전용사들을 기리기 위한 231개의 기념시설물 등 300여 개 시설물들을 건립하였다. 대한민국도 UN군 참전용사의 뜻을 기리고 UN참전국과의 우호증진을 위해  부사UN기념공원을 비롯한 전국에 69개 UN참전기념 시설물을 건립했다. 시설물은 나라마다 크기와 모양이 다양하지만 희생 장병을 기리는 뜻은 같으며, 6.25 전쟁이 “잊혀진 전쟁”이 아니라 “진정으로 승리한 전쟁”으로 기념되고 있다.
내용
우선 대한민국 내에 건립된 UN군 참전 기념물들은 전투 격전지를 중심으로 UN군 및 국가별 16개국 참전비가 기념비형태로 <표1>과 같이 건립되어 있고, 각 지자체가 관리하고 있다. 


이들 국내에 건립된 UN군 참전비들은 ①희생자의 영령보호 및 안치, ②국가의 대표적 이미지 형상화, ③국가이미지와 참전의미 혼합, ④ 전쟁과 관련된 이미지 형상화, ⑤ 자연석 기념 등 다양한 추상적 이미지로 표현되어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 수호를 위한 거룩한 희생”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차별적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이런 UN군 참전비의 상징적 이미지를 통해 대한민국이 목숨을 바친 UN참전용사들의 숭고한 넋을 기리고, 그들의 고귀한 희생을 영원히 잊지 않겠다는 감사의 마음을 표현함으로써 추모와 전쟁의 상흔을 재구성하고 있다.



<표1> 대한민국 내에 건립된 UN군참전국 참전비의 현황과 상징적 조형특성

명칭

년도

소재지

크기(m)

부지

()

형태

상징적 의미

미국군

참전비

1975

경기도 파주시

기단 0.12

0.8

379

기둥형

···해병대의 참전을 의미하는 4개 부조, 50개주를 상징하는 국기게양대 50, 영령들을 국민모두가 보호 안치한다는 상징성을 가진 내부 비로 구성

영연방

참전기념비

1967

경기도 가평군

기단 1

12

2,778

벽체형

정의의 십자군을 상징하는 4각형의 비신을 통해 대영제국의 거대함을 표현함

캐나다

전투기념비

1983

경기도 가평군

기단 0.7

6.5

1650

+

몸체형

단풍나무잎 모양으로 캐나다국기를 상징

프랑스군 참전기념비

1974

경기도 수원시

기단 1.48

6.45

 

진지형

영령들을 보호하고 안정시키는 비신, 희생자의 영원한 안식을 비는 좌우외장, 희생속의 승리의 영광을 표현한 입상

호주

전투기념비

1963

경기도 가평군

기단 0.8

4.6

2,112

+

몸체형

호주의 상징인 캥거루와 기단 위 자유와 평화의 십자군의 기상

뉴질랜드 한국전쟁

참전기념비

1988

경기도 가평군

기단 0.9

2

1,650

돌바위형

자연석

터어키

참전기념비

1974

경기도 용인시

기단 0.45

2

3,168

+

몸체형

터어키 국기에 있는 초생달과 별이 부착된 모형을 표현

그리스군

참전기념비

1974

경기도 여주구

기단 1.5

7.2

1,660

국가이미지형

그리스 신전

필리핀

참전기념비

1974

경기도 고양시

기단 4.5

17

3,960

+

몸체형

통일성과 안정성을 살리는 정삼각형구도의 모형으로 구성

타일랜드

참전기녑비

1974

경기도 포천시

기단3

12

10,735

+

몸체형

전투를 상징하는 소총의 개머리판 모형을 표현

남아공

참전기념비

1975

경기도 평택시

18

5,039

+

몸체형

공군파병을 의미하는 비형기 모형과 남아공의 보호수를 상징하는 영양으로 구성

이디오피아참전기념비

1968

강원도 춘천시

기단1.2

15.2

185

+

몸체형

기둥에 이디오피아 전설의 동물형상을 부착하여 구성

네덜란드

참전기념비

1975

강원도 평창군

기단 0.95

12

4,388

국가이미지형

네덜란드 국기인 삼색기를 아로새긴 풍차모양으로 구성

콜롬비아

참전기념비

1975

인천시 서구

기단 2

10

3,647

+

몸체형

마야문명의 상형글자

룩센부르크벨기에 참전기념비

1975

경기도 도두천

기단 1.5

20

6,600

기둥형

3개 기둥이 상층에서 모아지는 형상을 세우고 정면 기둥의 벽면에 태양을 상징하는 원형조형물 부착

의료지원단 참전기념비

1976

부산시 영도구

20

4,580

+

벽체형

기둥형

UN군 초전기념비

1982

경기도 오산시

19.5

20,451

기둥형

초전 당시 3개 진지의 구축을 상징하는 3개의 비신과 유엔군의 치열한 전투상황을 표현한 동상


다음으로  미국을 포함한 참전국 19개국들의 국내에 건립된 UN참전국의 기념시설물들은 <표2>와 같이 지역별로 아시아 3개국, 유럽11개국, 오세아니아 2개국, 아프리카 2개국 등으로 전 세계에 분포하고 있으며, 대체적으로 ①추모의 비문, ② 자국의 상징 마크와 한국의 상징물(태극기·무궁화·다보탑·거북선 등), ③UN의 이상과 평화 사도로서의 신성한 임무 , ④조국의 평화와 세계의 평화, ⑤신성한 인류애와 “잊지 않도록 기억하라” 등의 상징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조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상징적 의미는 UN군으로서 한국전쟁에 참여한 사실을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한 사심 없는 희생으로 기억한다”는 것으로 압축되어 있다. 


 <표2> UN 참전국의 국내에 건립된 주요 한국전쟁 기념시설물 현황

국명

주요 기념 시설물

미국

워싱턴D.C.한국전참전용사기념공원, 플래그스태프한국전참전비, 애리조나한국전참전비, 투손한국전 참전비, 아칸소맥아더파크한국전참전비, 컨카운티한국전참전비, 데저트추모공원한국전참전비, 오크데일추모공원한국전참전비, 로스오소스밸리추모공원참전비, 네바다파이오니어파크한국전참전비 등

영국

런던세인트폴대성당, 한국전참전 기념패, 영국국립묘지 한국전참전비, 콜체스터 한국전참전비, 더비 한국전참전비, 입스위치 한국전참전비, 스코틀랜드 한국전쟁기념관, 노스웨스트 웨일스 한국전참전비, 맨체스터 한국전참전비, 벨파스트 한국전참전비

캐나다

오타와한국전전사자기념비. 오타와한국전참전비, 오타와원주민참전군인한국전참전비, 토론토한국전참전비, 브램튼메도우베일묘지한국전참전비, 윈저한국전참전비, 디에프파크한국전참전비, 윈저·에식스카운티한국전참전비, 캐나다보병연박물관한국전쟁관, 몬트리올한국전참전비, 캐나다로열22연대 한국전참전비, 퀘벡한국전참전비, 민토한국전참전비, 루넌버그한국전참전비, 샬럿타운한국전참전비, 브룩사이드묘지한국전참전, 캐나다가평참전비, 빅토리아한국전참전비

터어키

한국참전 토이기기념탑, 이스켄데룬 한국전참전비

호주

호주국립전쟁기념관한국전참전비, 시드니한국전참전비, 멜버른전쟁기념관, 추모공원, 울버스톤안자크파크참전비, 태즈메이니아군사박물관한국전참전비

필리핀

마닐라국립묘지한국전참전비, 마닐라마리키나시한국전참전비, 마닐라리잘파크한국전참전기념비, 필리핀통합사관학교한국전참전비

태국

방콕참전협회한국전참전비, 촌부리한국전참전비

네덜란드

로테르담한국전참전비, 티멘스군목추모비, 엔겔브렛반나소병영한국전참전비, 오렌지부대한국전참전비, 위트레흐트한국전참전비

콜롬비아

보고타한국전참전비, 콜롬비아국방부한국전기념비, 카르타헤나한국전참전기념비

그리스

파파고스한국전참전비, 테살로니키한국전참전기념탑

뉴질랜드

웰링턴아오테아한국전참전비, 뉴질랜드국회한국전참전기념패, 프랭크키츠공원한국전참전기념패, 오클랜드한국전참전비, 크라이스트처치송파공원한국전참전기념교, 타이하페참전용사추모비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한국전참전기념비

벨기에

국립대성심성당한국전참전기념물, 월루웨쌩피에르한국전참전비, 카미나한국전기념비, 오스트말러한국전참전비, 티엘렌한국전참전비, 신트니클라스한국전참전비, 딕스뮈드한국전참전비, 글린한국전참전비, 나뮈르한국전참전비, 리에주한국전참전비, 륌뷔르흐한국전참전기념비, 아테르한국참전비

프랑스

파리한국전참전비, 개선문광장한국전참전기념비, 앵발리드한국전참전기념패, 생제르망앙레한국전참전비, 오피탈-캉프루한국전참전비, 로자휴한국전참전비, 르망제2해병보병연대한국전참전비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한국전참전비, 남아프리카공화국공군본부한국전참전비, 남아프리카공화국공군박물관한국전쟁관, 프레토리아유니온빌딩한국전참전기념패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헌법광장한국전참전비, 룩셈부르크국립군사박물관한국전쟁관

스웨덴:

스웨덴야전병원한국전참전기념패

덴마크:

덴마크병원선유틀란디아호한국전참전비

이탈리아

이탈리아제68야전병원한국전참전기념패


참고자료
국가보훈처, 《6.25전쟁 60주년 UN 참전 기념시설물 도감 1·2·3》, 2010.
국가보훈처, 《제대군인국 6.25전쟁 인명피해 자료》, 2012. 
집필자
한종기 (연세대학교 연구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15. 11. 26
최종 주제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