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1. Home
  2. 기록물 열람
  3. 통합검색
  4. 분야별 검색

교육

신사참배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배경

신사는 일본의 고유 민간종교인 신도(神道)의 사원이다. 일본은 메이지유신(明治維新) 이후 국민 통합을 위해 각지에 신사를 건립하고 이 신도를 보호·육성해 ‘천황제’ 국가의 지도정신으로 이데올로기화하였다. 1876년 개항과 더불어 일본의 침략이 개시되면서 조선에 신사·신도가 침투하기 시작하였다. 식민지 교육의 전개와 함께 관공립학교에서 신사참배 및 천황제 이데올로기 관련 행사와 의식이 강요되었으며, 1930년대 중반 이후는 사립학교를 대상으로 해서 신사참배가 강요되어 격렬한 반발을 초래하였다.

경과

1910년대에는 관공립학교에서, 1920년대 초반부터는 사립학교에까지 신사참배를 강요하였다. 그러나 1925년 조선신궁(朝鮮神宮) 진좌제(鎭座祭)를 고비로 언론과 기독교계 사립학교들이 강력히 반발하자 사립학교 학생들에게까지 강제로 신사에 참배시키는 정책 시행은 일단 보류하였다. 그러나 1930년대에 들어 일제가 대륙침략을 재개하면서 이를 뒷받침할 사상통일을 이룩하기 위해서 각종 행사를 개최하고 기독교계 사립학교에까지 다시 신사참배를 강요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총독부가 1935년 11월 평양 기독교계 사립학교장 신사참배 거부사건을 계기로, 신사에 참배하든가 폐교하게 하는 강경책으로 나오자 기독교계의 의견이 분열되어, 1937년부터 기독교계 학교의 일부는 폐교하고 일부는 순응하였다.

내용

1937년 중일전쟁 이후 일제의 이른바 ‘황민화 운동’의 고조와 함께 교육계에서의 신사참배문제가 그들의 의도대로 일단락되어가자, 일반인들은 물론 교회에까지 신사참배를 강요하였다. 일본 경찰은 1938년 2월 ‘기독교에 대한 지도대책’을 세워 일반신도들의 신사참배를 지도, 강화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일선 경찰력을 동원해 개교회(個敎會)로부터 시작해 노회·총회 등 교단적 차원에서 신사참배를 결의, 실행하도록 압력을 가하였다. 결국, 기독교계도 이러한 강압을 이기지 못하고 1938년 9월 장로회총회의 신사참배 결의를 고비로 굴복하였다. 이 시기의 신사참배와 부일협력문제를 둘러싼 교계의 분열은 광복 후까지 영향을 미쳐 한국 교회의 심각한 교파분열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신사참배를 거부하는 움직임도 한편으로는 전개되었다. 신사참배 거부운동은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하나는 일제 당국이나 일제에 영향력 있는 기관 또는 인사들을 찾아가 신사참배를 강요하지 말 것을 청원 내지 경고한 ‘신사참배 강요금지 청원운동’이다. 다른 하나는 일제의 강요와 제도권 교회의 불법적 결의에 순교를 각오하고 끝까지 저항해 신앙과 교회를 지키고자 한 ‘신사참배 거부권유운동’이다. 1945년 8월 광복이 되자마자 대부분의 신사들은 민간인들에 의해 불타거나 파괴되었다. 이들 신사는 대부분 8월 15·16일에 방화·파괴되었으며, 광복 후 8일 만에 136건의 이러한 일들이 일어났다. 일본인의 철수와 함께 신궁·신사는 이 땅에서 모두 사라지고, 그 터는 대부분 공원이나 학교·교회 등 공공장소로 이용되었다.

참고자료

한석희,《일제의 종교침략사》 기독교문사, 1990

집필자
오성철(서울교대 초등교육과 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7. 12. 01
최종 주제 수정
2007.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