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1. Home
  2. 기록물 열람
  3. 통합검색
  4. 분야별 검색

국토및지역개발

수자원장기계획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수자원장기종합계획(건설교통부)
하천법(건설교통부)

배경
1999년 하천법 개정에 따른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의 법정계획화에 따른 수자원종합계획의 새로운 기본방향과 전략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 2000년 확정된 제4차 국토종합계획과 연계한 수자원 정책방향과 전략 및 세부계획이 필요해졌으며 최근 이상기후와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극심한 가뭄과 홍수재해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차원의 수자원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발생하였다. 한편 수자원에 대한 사회 전반의 관심과 인식 증대로 각계각층의 다양한 의견을 수용할 수 있는 수자원 계획을 수입하여 국민이 참여하는 수자원장기계획이 필요하게 되었다.
경과

우리나라의 최초의 수자원 종합 계획은 1965년에 수립된 수자원개발 10개년 계획이다. 이는 1970년부터 1980년을 계획기간으로 하여 다목적댐 개발을 계획기조로 하였다. 그 후, 댐 개발 및 치수 사업을 기조로 한 수자원장기종합개발계획(계획년도: 1981-2001, 수립년도: 1980년), 수자원개발과 관리를 기조로 한 수자원장기종합계획(계획년도 1991-2011, 수립년도 1990년), 현재는 환경친화적 수자원개발과 관리를 목적으로 수자원 장기종합계획 수정보완안(계획년도 1996-2011, 수립년도 1996)이 실행 중이다. 


1999년 이전에는 비 법정 계획으로 수자원 정책이 실천되어 왔지만 1999년 하천법의 개정으로 수자원 장기종합계획이 법정계획화 되었으며 2001년 7월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01-2020), Water Vision 2020) 수립되었다. 이 계획도 북한의 임남댐 건설, 잦은 봄 가뭄 등 이수측면의 환경변화를 고려한 용수수급계획 보완이 필요해졌으며 수자원 계획의 신뢰성에 대한 시민단체 등의 문제제기 및 지역 차원의 수자원 계획 및 수자원 환경에 대한 국민적 욕구 증대를 배경으로 2006년 보완되었다.

내용

가. 이수종합계획
이수계획은 (1)수요관리 정책의 강화와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 (2)지속가능한 수자원개발, (3)수자원에 대한 지식과 정보의 공유에 그 필요성과 의의가 있다. 이수계획의 기본이념은 건전하고 안정된 물 이용 사회 조성에 있으며 그 추진전략은 1)적극적인 수요관리와 안정적인 공급관리가 병행하는 계획 추진, 2)물 관리의 과학화에 의한 물 부족 해소 노력, 3)수원의 다변화 추진에 의한 지속적 수원개발, 4)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상수원 수질 개선에 있다.


나. 치수종합계획
치수종합계획은 홍수에 강한 사회기반 형성을 그 기본이념으로 하고 있으며1)홍수피해 예방대책의 수립과 시행, 2)하도와 유역을 통합한 유역종합치수계획 필요, 3)치수계획을 초과하는 홍수와 도시지역 홍수피해 대응능력 강화, 4)자연친화적 국토관리의 필요성 증대, 5)남북한 공동 치수대책 강구에 그 의의와 필요성이 있다. 그 주요내용은 홍수방어시설 확충 및 홍수방어계획 수립 및 추진이다.


다. 하천환경계획
하천환경계획의 기본이념은 자연과 조화된 하천환경조성으로 1)하천의 이수 및 치수 기능과 하천환경 기능의 조화, 2)풍요로운 자연과 경관의 창출, 3)물문화에 대한 의식 변화와 풍요로운 삶의 추구, 4)하천의 다목적 활용을 그 의의와 필요성으로 하고 있다. 주요내용은 2006년까지 수계별 하천정비기본계획을 자연친화적 계획으로 재정비하고 2007년 이후부터 기존 하천정비구간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자연친화적 하천정비사업을 실시하는 것이다.


라. 수자원조사 및 연구개발 계획
본 계획의 기본이념은 1)수자원장기종합계획(2001~2020)의 성공적인 실현을 위한 수문기초조사, 유역조사 및 필요기술 개발을 지원, 2)이수종합계획, 치수종합계획, 하천환경계획의 성공적인 실현을 위한 정보 및 기술개발 지원, 3)선진국의 40%로 낙후되어 있는 수자원 기술을 2020년까지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 4)지속가능한 수자원 개발과 관리를 위한 기술인력 양성을 유도하는데 있다. 그 필요성은 1)수자원장기종합계획(2001~2020)으로 제시되는 이수, 치수 및 하천환경 계획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조사 및 연구개발 장기계획의 필요, 2)용수수요 증가에 따른 물부족, 극심한 홍수와 가뭄, 오염부하 증가에 따른 하천환경 악화 등 장래 예상되는 수자원 문제의 해결을 새로운 차원에서 접근하기 위한 조사와 연구개발이 필요, 3)낙후된 수자원 기술을 국가 차원에서 향상시키고 지속가능한 수자원 개발 및 관리를 담당할 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수자원 조사 및 연구개발 장기계획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주요내용은 수자원기초조사의 확대 및 신뢰도 재고, 홍수방어능력 고도화 기술향상, 지속적 수자원 확보기술, 물 관리 종합시스템 구축기술향상, 하천환경 및 복원 기술향상 등이다.

참고자료

건설교통부 수자원정책팀 홈페이지

http://waterplan.kwater.or.kr/index.asp

집필자
한종길 (성결대학교 경영학부 부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7. 12. 01
최종 주제 수정
2007.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