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국무조정

아웅산 폭발사건 수습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국무조정실과 그 소속기관의 직제」

국민장 개최

김상협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고 정부·정당 및 각계 대표 663명으로 구성된 장례위원회 주관으로 43개국으로부터 온 조문사절단과 100만 이상의 시민이 참석, 애도하는 가운데 1983년 10월 13일 오전 10시 정각에 서석준 부총리 등 17명의 순국외교사절 합동국민장을 서울 여의도 광장에서 엄수하고 유해를 국립묘지에 안장했다. 합동국민장 장례위원장인 김상협 국무총리는 조사를 통해 "하늘의 뜻을 거역하고 인간의 양심을 저버린 이 천인공노할 만행은 어처구니없게도 우리와 피를 함께 나누고 있는 북한공산집단에 의해 자행됐다"고 말하고, "우리는 이 잔인 무도한 폭력암살행위에 대하여 민족과 인류의 양심으로 철저히 규탄하고 응징해야겠다" 고 강조했다.

배경

1983년 전두환 대통령의동남아 방문 중 버마에서 대통령을 암살하기 위한 폭발사건이 발생하자,이를 정부차원에서 다루기 위해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고 외무부·내무부·국방부·보사부·교통부·문화공보부·총무처 장관, 서울특별시장, 안기부장, 청와대정무수석을 위원으로 하는 사고대책위원회와 차관급을 위원으로 하는 실무대책위원회(위원장: 행정조정실장)를 구성하였다.

내용

1. 사고대책실무위원회 운영
위원장인 손수익 국무총리 행정조정실장 주재로 경제기획원·외무부·내무부·국방부·보사부·교통부·문화공보부·총무처 차관, 안기부 제1차장, 서울특별시 부시장이 참석한 사고대책실무위원회를 개최하였다(1983.10.9). 이 회의에서는 대통령 영접방법과 대통령에 대한 대책보고, 현지대사관 지휘부 구성 등 현지에 대한 조치계획, 순직 및 부상자 수송 및 사상자에 대한 조치계획, 합동분향소 설치 및 조기게양 계획 등 정부에서 조속히 챙겨야 할 사항들을 논의하고 추진하였다.


2. 대책상황실 설치 및 운영
국무총리 행정조정실에서는 버마사고대책상황실을 국무총리대접견실에 설치하고, 상황실장은 제1행정조정관(이연택)과 제2행정조정관(김찬진)이 24시간 교대로 근무하였으며 국장급을 책임자로 하는 3개 상황반(1반 : 외무부, 안기부, 청와대 관련업무 담당, 2반 : 내무부, 총무처, 서울시 관련업무담당, 3반 : 국방부, 교통부, 보사부, 문공부 관련업무 담당)을 구성하고 2교대 24시간 비상 관리체제로 돌입하였다(1983.10.10). 한편, 외무부, 내무부, 국방부, 보사부, 교통부, 문공부, 총무처, 서울특별시, 치안본부에도 비상연락망을 편성·운영케하여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구축하였으며 정부에서 향후 조치할 사항을각 부처와 협의하고 일일 추진상황을 점검, 이를 정리하여 매일 청와대와 협의하는등 상황대처에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사고처리에 소요되는 제반 비용은 예비비로 긴급지원 조치토록 지시하여 긴밀하고 일사분란하게 사고를 수습하였다.


3. 사고수습
행정조정실에서는 사고대책위원회 등을 개최 조속히 사고를 수습하고자 駐태국대사관과 駐말레이시아대사관 등 현지 대사관에 인력을 긴급히 파견하여 사고수습인력을 보강하고 정부 특사와 진상조사단을 파견하였다. 또한 의료진을 파견하여 부상자를 후송하고 유해를 운구하는 등 발빠른 조치를 취하였다. 특히 정부진상조사단(단장 박세직 안기부 1차장)의 현장 조기도착은 미얀마사건이 북한의 만행임을 밝히는 주요한 일이었으나, 방콕에서 미얀마 랑군까지의 교통편이 문제가 되었다. 이에 행정조정실에서는 유해운구차 파견한 KAL 747기를 랑군에서 방콕으로 회항시켜 진상조사단을 현지로 수송토록 발빠르게 조치하였다.

참고자료

국무조정실,《국무조정실 30년사》, 2003

집필자
이광희(한국행정연구원 국정평가센터 부연구위원)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종 주제 수정
2006.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