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기술계층별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기술계층별검색

계열기술정보

기술정보

식별 영역
식별 영역 상세보기
참조코드 AG30/S15
제목 군수
생산시기 1968~2014
유형별 수량
現기술계층 기록물계열
상위기술계층 국방부 기록물군
하위기술계층
배경 영역
배경 영역 상세보기
생산기관 국방부
행정연혁
  • 국방부는 1945년 11월 13일 미군정에 국방사령부가 설치됨에 따라 시작되었다. 1946년 3월 29일에는 국방사령부를 국방부로 개칭하였으며, 1946년 6월 15일에는 ... 연혁보기
수집이관기관
수집이관방법 이관
내용과 구조영역
내용과 구조영역
범위와 내용 <군수> 계열은 군수정책, 군수품 조달정책, 군수지원계획, 군수품의 규격화·형상관리 및 종합 군수지원, 국방 수송운영방침, 대외 군수협력 및 주둔군의 지원 등과 관련된 업무기능 기록물을 포함한다.
이 계열에는 '군수물자 규격심의 결과 보고 기록', 1968년 '상거래 전표', 1973년 '군복 및 군용장구의 단속 법령', 1977년부터 1981년 '군공창 민영화', 1971년-1982년 고속버스군운임할인협정체결이 포함된 '육로여객철(수송정책)', 철도군사수송 규정개정검토가 포함된 '철도철', 한국군 및 주한미군 통신시설의 상호 이용에 관한 합의각서가 포함된 1983년 '전시지원 협정 기록'이 포함되어 있다.
'군공창민영화' 기록은 군공창 민영화 과정을 알 수 있는 기록으로 군수품 처분 세부지침이 수록되어 있고 조병창 민영화에 따른 매각 재산 군수품 사정가, 민영화 사업추진계획 및 인수업체와의 합의서 등이 편철되어 있다.
색인어/기능어
재고출납,군용물자 군수관리
접근과 이용환경영역
내용과 구조영역 상세보기
접근환경 대부분의 기록물은 공개 가능하나 일부 국방, 군사시설, 장비에 관련된 기록은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제9조 제1항 제2호에 의하여 공개가 제한된다.
이용환경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업무상 작성하여 공표한 저작물(저작권법 제24조의 2, 제36조)은 허락 없이 이용·번역·개작 가능하며, 영리적(상업적) 목적(공공데이터법 제3조)으로도 이용 가능하다. 저작물 이용 시 반드시 출처를 명시해야 한다. 다만, 저작물이 '국가안전보장 관련 정보, 개인 또는 민간에 저작권이 있는 경우, 개인의 사생활(초상권 침해여부 포함) 또는 사업상 비밀, 다른 법률에 따라 공개가 제한된 정보, 한국저작권위원회에 등록된 저작물(저작권법 제112조)로서 국유재산(국유재산법) 또는 공유재산(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으로 관리 되는 경우' 등은 허락 없이 이용할 수 없다.
언어 한국어
관련자료
내용과 구조영역 상세보기
원본의 존재와 위치 대전서고, 성남서고 (본 계열의 기록물 중 일부 정리 중인 기록물은 서고위치가 다를 수 있음)
관련기록
출판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