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1. Home
  2. 기록물 열람
  3. 통합검색
  4. 분야별 검색

교육

국제이해 교육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유네스코 활동에 관한 법률(법률 제14839, 2017. 7. 26. 시행)

대한민국 정부와 유네스코 간의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의 설립에 관한 협정 (조약 제1535/조약 제2058)

배경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냉전체제가 지속되는 과정에서 국제연합은 국가 간의 분쟁을 약화시키고 평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다. 특히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는 유엔 전문기구 중의 하나로 교육, 과학, 문화 등 지적활동 분야에서의 국제협력을 촉진함으로써 상호 이해증진과 인류 발전에 기여하고, 궁극적으로 세계평화에 이바지하기 위해서 설립되었다. 한국도 유네스코 회원국으로서 유네스코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국제이해교육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다

경과

유네스코는 창립 이래 교육을 통해서 영구적 세계 평화를 추구할 수 있다는 철학에 기초해 국제이해교육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유네스코에서는 세계시민성 교육(1950, Education in the World Citizenship)’, ‘세계 공동체에서 살기 위한 교육(1952, Education for Living in a World Community)’, 등의 용어를 사용했지만, 1953년에 국제이해와 협력을 위한 교육”(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이 제안되었다. 이후 1974년 제18차 유네스코 총회에서는 국제이해, 협력, 평화를 위한 교육과 인권, 기본 자유에 관한 교육 권고(Recommendation concerning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Co-operation and Peace and Education relating to Human Rights and Fundamental Freedoms)”가 채택되어 그 내용이 확대되었고, 2023년 제 42차 총회에서는 평화, 인권, 국제이해, 협력, 기본적 자유, 세계시민성,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 권고(Recommendation on Education for Peace and Human Rights, International Understanding, Cooperation, Fundamental Freedoms, Global Citizenship and Sustainable Development)”를 통해 변화한 국제사회 논의와 교육의 방향이 반영되었다.

한국에서는 1954년 설립된 유네스코 한국위원회를 중심으로 유네스코 이념을 실천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진행되었다. 특히 1961년 유네스코학교 네트워크(UNESCO Associate Schools Network, ASPNET) 가입을 계기로 국제이해교육을 실천하는 교육활동이 국내에서도 본격적으로 전개되었고, 이를 위한 전문가 연수와 학술세미나 등도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1974년 국제이해교육에 관한 권고안의 채택 이후에는 유네스코 한국위원회를 통해 국제이해교육지침서를 비롯한 다양한 출판물을 발간하며, 국제이해교육의 확대를 위해 노력하였다. 1990년대 이후에는 국제사회의 책임감 있는 일원으로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국제이해교육 증진에도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1997년 제29차 유네스코 총회에서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Asia-Pacific Center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PCEIU) 설립을 제안하고, 3년 후인 2000대한민국 정부와 유네스코 간의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의 설립에 관한 협정 (조약 제1535)체결함으로써 국제이해교육에 관한 국제기구를 한국에 설치하였다. 유네스코 아태교육원 설립을 계기로 한국은 유네스코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교육자 역량 강화, 연구 및 정책 개발, 정보 교류 및 확산, 교육 및 학습 자료 개발, 국제교사교류 등의 사업을 추진하였다. 또한 2015년에는 유네스코 세계교육포럼의 인천 개최를 계기로 국제사회의 지속가능발전 목표 달성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하고 있으며, 특히 세계시민교육 의제를 세부 목표로 제안하는 등 교육의제 설정 과정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2023평화, 인권, 국제이해, 협력, 기본적 자유, 세계시민성,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 권고채택으로 이어졌으며,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실천되고 있다

내용

국제이해교육의 사전적 정의는 국가 간의 이해, 즉 국제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이다. 국제이해교육의 목적은 세계와 세계 사람들에 대한 지식을 증대하고, 타문화에 편견을 가지지 않고 서로 다른 것에 우호적이고 동정적 태도를 육성하며, 세계 문제 해결에는 국제협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이해하고, 인권존중과 타자에 대한 도덕적, 사회적 책임감, 공공을 위해 행동하는 것이다.

국제이해교육라는 용어는 주로 유네스코의 교육의제로 다루어져 왔으며, 특히 1974국제이해, 협력, 평화를 위한 교육과 인권, 기본 자유에 관한 교육 권고채택을 통해 국제이해교육의 목적과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국제이해교육은 평화교육, 문화다양성교육, 인권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 세계시민교육, 등 유사한 목적과 내용을 공유하는 다양한 개념들과 함께 발전되어 왔으며, 최근 유네스코는 이러한 변화를 반영해서 2023년에 평화, 인권, 국제이해, 협력, 기본적 자유, 세계시민성,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 권고로 개정하고 국제이해교육의 내용을 확대하였다.

참고자료

강순원, 김현덕, 이경한, 김다원, 국제이해교육의 변천과정에 관한 교육사회사적 연구, 교육학연구553, 2017.

김다원, 평화, 인권, 국제이해, 협력, 기본적 자유, 세계시민성,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 권고에서 제시한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과 향후 실천 과제, 국제이해교육연구192, 2024.

(UNESCO, 1974)

(UNESCO, 2023)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https://unesco.or.kr/)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국제이해교육원 (https://www.unescoapceiu.org/) 

집필자
박환보(충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24. 09. 12
최종 주제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