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1. Home
  2. 기록물 열람
  3. 통합검색
  4. 분야별 검색

통상

Kmall24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한국무역협회 Kmall24 http://www.kmall24.com
배경
국경 간 전자상거래 금액은 1,040억 달러로 전체 전자 상거래 금액의 16%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8년에는 약 3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국의 국경 간 전자상거래 규모 역시 2001년 140억 원에서 2014년 1조 6,000억 원으로 115가량 급증하였고 매년 20%∼30% 급격한 성장세를 거듭하며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증가하고 있는 해외직판과 관련하여 무역협회가 2014년 4월에 실시한 수출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자 상거래 수출기업들은 해외언어로 쇼핑몰 구축, 구축비용, IT 관련 기술적 어려움, 특허 기술장벽, 취급제품 선정 등과 관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통관, 물류 및 배송, 등록 행정절차 등의 정부 규제로 인한 애로사항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해외 소비자들은 한국 상품 구매 시 상품의 배송시간이 오래 걸리는 점과 높은 배송비용, 불편한 결제 수단, 외국인 구매가능 쇼핑몰 및 쇼핑몰 내 제품설명이 부족한 점 등의 불편함을 겪고 있었고 일반 무역업체 온라인 직수출 애로사항으로는 구축 및 입점비용지원과 배송 시스템 지원, 통관 간소화 등의 문제가 대표적으로 손꼽혔다.


이러한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산업통상부에서는 2014년 8월 제6차 무역투자진흥회의를 통하여 글로벌 온라인 쇼핑몰에 한국상품 등록을 확대하고,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중소기업 온라인 쇼핑몰 구축으로 해외소비자를 대상으로 소상공인과 중소 및 중견기업의 해외 판로개척을 지원하고 또한 개인 무역 창업을 통해 청년 일자를 창출하고자 하는 ‘전자상거래 수출 활성화 방안’을 내놓았다. 이와 더불어 물류, 통관 및 지재권 등 전자상거래 수출에 따른 기능 및 제도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에 한국무역협회에서는 중소기업 온라인 쇼핑몰인 Kmall24를 설립·운영하여 1,100여 개의 중소기업의 독립된 Mini-shop을 개설 및 지원하고, 소비자에 최적화된 결제 제공, Wholesale Inquiry(도매/제휴)를 통한 B2B(Business to Business) 대량거래 전환 지원, 아마존, 티몰, 라쿠텐, 이베이 등에 입점을 지원하는 등의 서비스 제공을 추진하였다. 또한 Kmall24는 영어, 일어 및 중어로 지원하여 해외 고객 CS 문의에 응대가 가능하다.  전자상거래 무역교육을 통한 중장년 창업 및 재취업 효과 또한 목표로 하고 있다.

내용
Kmall24는 한국무역협회에서 만든 비영리 쇼핑몰로 한국 중소제조업체의 해외 판로개척과 B2B, B2C 서비스를 위하여 운영되는 쇼핑몰이다. 이는 e-플랫폼으로 입주한 사업주들의 아이템들을 아마존 및 타오바오, Qoo10 및 이베이와 같은 오픈 마켓에 입점해 판매 및 홍보 해줄 계획을 가지고 있다. 상품 페이지 제작도 무료로 지원해주고 있어 사진촬영과 디자인, 외국어 번역 등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 제품이 판매될 때의 수수료를 제외하면 입점비가 없기 때문에 이를 통하여 직접 해외진출을 하기에는 역량이 부족한 기업들이나 홍보에 자신이 없는 기업들에게 좋은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Kmall24의 미션은 Cross-border e-commerce(해외 소비자에게 직접 수출) 시장 선점, trade Korea(B2B)와 연계한 B2B-B2C 선순환 모델 확립, 전자상거래 수출 활성화를 위한 교육 및 인프라 구축이다. 


Kmall24는 입점기업에게 해외 직판을 위한 마케팅, 물류, CS 및 정산 서비스 등 B2C 판매를 통합 지원하고, 무역협회 매칭 담당자와 연계하여 B2C 거래의 B2B 매칭 서비스를 지원하며 티몰, 아마존, 라쿠텐 등 해외 유명 오픈마켓에 제품등록을 지원하여 연계 등록지원 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KBS 아트 비전 등과 연계하여 한류 인기 드라마에 Kmall24 제품 중 일부를 PPL 광고 하는 등 한류 콘텐츠 결합 마케팅을 지원한다. 한편 미국, 일본, 중국의 해외 반품창고를 활용하여 해외 구매자들이 무료로 반품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매자 안심 구매지원 서비스를 지원하는 한편 초보 입점사를 위한 정기교육을 월 2회 시행하고, 세미나 등을 정기적으로 시행하는 등 전문가 정기교육 및 컨설팅을 지원한다. 


해외직판 기업들은 이를 통하여 초기 비용절감, 시장반응 테스트 및 온라인 쇼핑몰 dnsudd 노하우 축적 차원에서 Kmall24를 활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한 브랜드 인지도 확보 후 독립몰 운영을 통하여 독자적 마케팅과 충성고객 확보를 모색을 할 수 있어 쉽고 효과적인 해외진출의 발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Kmall24 운영을 통하여 중소기업의 온라인 무역 애로사항이 발굴 및 해소 되며 국경 간 전자상거래의 성장세와 무역협회의 e-business 운영 노하우가 맞물려 B2B2C로의 시너지 효과가 창출 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자료
Kmall24 홈페이지 http://kmall24.co.kr

집필자
김학민(경희대학교 무역학과 교수)
최초 주제 집필
최종 주제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