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농림해양수산

현신규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발생원인
1911년 평안남도 안주 출생.
1933년 수원 고등농림학교 졸업
1936년 일본 규슈[九州]대학 임학과 졸업
1936~1945년 조선총독부 임업시험장 근무
1945년 수원농업전문학교 조교수
1946~1963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교수
1949년 농학박사학위 취득(구주대학)
1951년 캘리포니아 대학 파견(산림유전학 연구)
1954년 학술원 회원
1963년 농촌진흥청장
1965~1976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교수
1986년 별세
그 외에 육종학회장 ·농업과학협회장(1972), ·산림청 임목육종연구소 연구고문(1972∼1986), 서울대학교 명예교수(1976∼1986), 한국포플러위원회 부회장, 학술원 원로회원(임학 분야)을 역임.
문화훈장, 학술원 공로상, 3 ·1 문화상, 수당과학상(秀堂科學賞), 국민훈장 무궁화장 등 수상
내용
현신규(玄信圭, 1911-1986)는 ‘한국 임목육종학의 창시자’, ‘한국 임학의 대부’, ‘산림녹화의 선구자’ 등의 이름으로 불리는 한국을 대표하는 임목육종학자이다. 그는 일제 식민지 지배 하에서 수원고등농림학교 임과, 규슈(九州)제국대학 농학부 임학과, 조선총독부 임업시험장을 거치면서 조선인으로서 어느 누구보다 임학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을 받았다. 이러한 경력은 해방이 되자 현신규를 한국 임학계의 중심에 올려놓게 하였다. 한국전쟁으로 활동이 어려워지자 미국으로 건너가 선진 임학을 익혔고, 귀국 후 본격적으로 한국 임학계의 교육과 연구를 정착시키는 데 힘썼다. 임목육종연구소의 설치와 한국임학회(1960), 한국육종학회(1969)의 창립과 운영을 주도하여 한국 임학의 제도화에 공헌하였다. 그야말로 현신규는 황무지나 다름없던 1950년대 한국 임학계의 초석을 마련해 준 인물이라 평할 수 있다. 


임업계에서 그의 학문적 업적은 크게 리기테다 소나무 육종과 포플러류인 은수원사시나무의 육종을 통해 우리나라 치산녹화의 초석을 놓았고 아울러 우리나라 육종학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올려놓은 것이다.


현신규 박사의 업적 중에서 첫째는 은수원사시나무의 육종이다. 은백양과 수원사시나무의 자연교잡종을 이창복 교수가 발견하여 학회에 보고하였지만, 이것을 육종을 통해서 대량 증식하여 전 국토에 보급한 것은 현신규 박사의 공이라 할 수 있다. 은수원사시나무는 포플러류가 가지는 특성인 물을 많이 필요로 하고 경사지에 살기 어렵다는 통념을 깬 나무로, 개발 초기에는 ‘산지포플러’란 이름으로 주요 조림 수종으로 선정되어 전 국토에 많이 심어졌다. 


특히 고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국토녹화에 지대한 공헌을 한 현신규 박사의 공덕을 기리기 위하여 현 박사의 성을 따서 은수원사시나무를 ‘현사시’라고 불리우게 되었다. 


또 하나 현신규박사의 큰 업적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은 리기테다소나무의 육종이다. 일제 때 수원고등농림학교의 교수로 왔던 일본인 학자에 의해 도입되어 척박한 토양에 잘 정착했던 리기다소나무가 목질이 구부러지고 생장이 늦어 사용이 제한적인데 비해 주로 미국 남부에서 자라는 테다소나무는 추위에 약하지만 생장이 월등하고 목질이 곧아, 두 수종을 교잡육종하여 리기테다소나무를 만들어 낸 것이다. 그러나 리기테다소나무는 개발 당시에 미국의회에서 조차도 ‘기적의 소나무’라고 불리우는 찬사를 받았지만 두 수종의 개화시기가 일치하지 못해 교잡을 만들기가 극히 어렵고, 보급초기에 리기다소나무와 섞이는 등 종자의 품질관리가 철저하지 못해 현재는 우리나라 남부의 극히 제한된 지역에 식재되어 있을 뿐이다. 


이러한 업적으로 현신규 박사는 과학명예의 전당과 임업 명예의 전당에 모두 올려진 유일한 인물이다.
참고자료
박정원, 《명예의 전당에 오른 인물 들》, 《월간 산》462호, 조선일보사(2008)
선유정, 《현신규와 리기테다소나무》, 한국과학사학회지(2005)
이경준, 《한국농학거성의 발자취 4》, 향산 현신규, 화농연학재단.(2006)
이문규, 《현신규의 임목육종연구와 제도화》, 한국과학사학회지(2004)
집필자
김세빈(충남대학교 환경산림자원학 전공 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8. 10. 15
최초 주제 수정
2014. 0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