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과학기술

한국전기연구소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배경
1970년대 낙후된 우리나라 중전기기산업을 육성하고 지원하기 위해 전기부문의 시험과 연구개발을 집중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국가적 차원의 연구개발기관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정부의 중전기기산업 육성 정책에 따라 정부와 한국전력 및 제조업계의 공동투자에 의해 1976년 재단법인 한국전기기기시험연구소가 설립되었다. 1970년대 정부의중화학 공업화 적극추진으로 산업용 전력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대단위 전원설비의 건설이 활발하여 중전기의 수요가 증대되었으나 국내의 생산능력과 국산화 자급화율은 20-30% 수준이었고 대부분의 고전압 대용량 전기기기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정부는 중전기공업육성방안을 수립하게 되었다. 또한 중전기기는 전력공급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엄격한 성능 검증이 필수적이지만 당시 국내에는 국제규격의 품질보증을 위한 성능시험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전기공업계는 대용량 단락시험설비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러한 기능을 담당하는 전문 기관으로 한국전기기기시험연구소가 설립되었다.
내용

가. 연구소 연혁
1976년 설립된 한국전기기기시험연구소는 전력사업과 전기공업에 관련된 과학기술 및 경제성에 관한 조사, 연구, 시험을 종합적으로 수행하며 국가·사회·경제발전에 필요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창조, 개발하고 이를 제공·보급함을 목적으로 삼았으며, 창원기계공업단지 내에 국제규모의 고전압·단락시험 설비를 갖춘 연구소 건설을 추진했다. 1981년 정부출연연구소에 대한 통폐합 정책의 일환으로 한국전기기기시험연구소는 한국통신기술연구소와 통합되어 한국전기통신연구소가 되었다. 이에 따라 전기부문은 창원분소로 운영되었고, 주관부처가 동력자원부에서 과학기술처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전기부문은 특성상 전자통신분야와 상이하다는 점이 널리 인식되면서 1985년 한국전기연구소로 분리 발족하게 되었다. 이후 전기공업 및 전력사업에 관한 시험 및 연구개발을 종합적으로 수행하는 연구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왔으며, 2001년 한국전기연구원(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KERI)으로 개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상남도 창원의 본원 외에 경기도 의왕과 안산에 분원을 갖추고 있다.


나. 기능
한국전기연구원은 공공복지 및 원천기술개발에 의한 공공 연구개발(R&D) 기능의 수행과 전기기기의 성능평가, 전기공업 관련 기술개발로 산업계 연구개발 수요충족 및 지원을 통해 관련 산업의 국제경쟁력을 제고시키고 국가 과학기술의 세계 일류화 및 국민복지의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국가 경제사회 발전에 기여함을 기본이념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기본이념의 달성을 위해 연구소는 주기능으로 첫째, 전력시스템 핵심기술연구, 둘째, 전기공업 요소기술연구, 셋째, 전기기기 시험·평가·진단기능을 설정했으며, 아울러 전기기술정보수집 보급과 함께 전기기술 산업계지원 및 교육을 부기능으로 설정했다.


다. 주요 연구
한국전기연구원은 전력연구단, 산업전기연구단, 재료응용연구단, 융합기술연구단이 연구활동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전력연구단은 21세기 디지털사회에서 요구되는 고신뢰성, 친환경, 지능형전력기술의 개발이라는 목표아래 환경친화적 전력설비의 개발, 신재생에너지연구, 초고압전력기기, 한국형통합에너지관리시스템 개발 등을 추진하고 있다. 산업전기연구단은 환경기술과 관련된 펄스파워, 전력변환, 메카트로닉스, 레이저, 플라즈마, 전자빔 이용기술, 전력기기 진단 및 전기재해에 대한 기술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재료응용연구단은 세계적 기술흐름의 급격한 변화기조에 대응하기 위해 전기 재료기반 기술을 바탕으로 한 7대 핵심연구영역(초전도기술, 압전소자기술, 광전기화학기술, 차세대전지기술, 고집적 전원장치기술, 나노소재기술, CNT전극기술)을 선정하여 거대 복합기술의 연구기반 확충 및 환경 친화적 전기에너지의 대용량 고효율화와 관련된 핵심소재 기반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융합 기술 연구단에서는 차세대 전력 계통의 지능화와 홈 네트워크의 중심 기술인 Broadband Power Line Communication, THz 고속통신, Low Rate Ultra Wide Ban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기술과 암 조기 진단 및 치료를 위한 핵심 기술인 X-ray, Carbon Nano Tube를 이용한 X-ray 광원, 레이저 형광 및 간섭 측정 기술, U-health, THz 진단기술, E-beam 투사기술 등의 세계 일류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참고자료
과학기술처, <<출연연구기관백서>, 1997.
한국전기연구원 홈페이지(http://www.keri.re.kr/)
집필자
문만용 (전북대학교 연구교수, 과학사)
최초 주제 집필
2008. 09. 23
최초 주제 수정
2014. 0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