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태우 정권 하에서는 기존 경제장관회의 외에 통일정책을 종합적으로 심의․조정하기 위한 통일관계장관회의가 구성되었다. 김영삼 정권에서는 북핵 위기가 고조되면서 통일 및 안보관련 정책조정을 위한 회의체가 중복적으로 구성되었다(통일관계장관회의, 통일안보정책조정회의, 통일관계장관 고위전략회의, 안보관계장관회의). 이 중에서 대통령이 주재하는 안보관계장관회의가 정책결정 및 조정에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경제위기를 극복할 과제를 안고 출범한김대중 정권 하에서는 주요 대외경제정책을 총괄할 대외경제장관회의가 신설되기도 하였으나, 기존의 경제관계장관회의를 대신하여 새로 만들어진 경제정책조정회의가 실질적인 경제정책의 조정역할을 수행하였다. 통일정책에 대해서는 통일관계장관회의가 월 1회에서 분기 1회로 축소되면서 실제 운영이 유명무실화되었고, 그 대신 통일부장관, 외교통상부장관, 국무조정실장 등이 참여하는 외교국가안전보장회의상임위원회를 신설하여 주 1회 정기의회를 통해 안보와 관련되는 대외정책, 대북정책, 군사정책 및 국내정책에 관한 사항을 협의하였다. 2005년에는 인적자원개발회의 및 사회관계장관회의가 신설되기도 하였다.
노무현 정권은 관계장관회의를 보다 제도화시키려고 노력하였다. 정부업무조정등에관한규정을 제정하여 부처 간 이견이 발생한 경우에 당사자 간의 조정을 원칙으로 하되, 그 이견이 해소되지 않는 때에는 정책분야별 조정관리주무기관 또는 국무조정실장에게 조정을 신청하도록 하였다. 김대중 정권 하의 4대 관계장관회의를 반영하여 경제정책분야의 재정경제부장관, 인적자원개발정책분야의 교육인적자원부장관, 통일 및 남북대화에 관한 정책분야의 통일부장관, 사회․문화 및 복지 관련 정책분야의 행정자치부장관의 4대 분야에서 조정관리주무기관을 선정하였고, 2004년 과학기술혁신정책분야의 추가로 5대 분야로 확대된다(<표> 참조). 이 때 조정관리주무기관도 행정자치부장관에서 보건복지부장관으로 바뀌었다. 국무총리 주재로 5대 분야 책임장관이 참여하는 부총리․책임장관회의가 매월 1회 개최되었는데, 특정 안건에 대한 조정보다는 주요한 국정현안을 점검․조정하도록 하였다.
<표>
분야 | 경제 | 교육인적자원 | 과학기술혁신 | 통일․외교․안보 | 사회․문화 |
명칭 | 경제정책조정회의 | 인적자원개발회의 |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 국가안전보장회의상임위원회 | 사회문화정책관계장관회의 |
근거 법령 | 경제정책조정회의규정 | 인적자원개발기본법 및 시행령 |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규정 | 국가안전보장회의운영등에관한규정 | 사회문화정책관계장관회의규정 |
의장 | 재정경제부장관(부총리) | 교육인적자원부장관(부총리) | 과학기술부장관(부총리) | 대통령 지명 | 보건복지부장관 |
구성 | 재경부, 교육인적자원부, 과기부, 행자부, 문광부, 농림부, 산자부, 정통부, 복지부, 환경부, 노동부, 여성부, 건교부, 해수부, 기획예산처장관, 국무조정실장, 공정거래위원장, 금감위위원장, 국정홍보처장, 통상교섭본부장, 대통령비서실경제정책담당보좌관, 정책기획위원회 | 재경부, 교육인적자원부, 행자부, 과기부, 문광부, 산자부, 정통부, 복지부, 노동부, 여성부, 기획예산처장관, 중앙인사위원회위원장, 국무조정실장, 국정홍보처장 | 재경부, 교육인적자원부, 과기부, 국방부,농림부, 산자부, 정통부, 복지부, 환경부, 건교부, 해수부, 기획예산처장관, 국무조정실장, 대통령 비서실의 정책기획수석, 정보과학기술보좌관, 과학기술현신본부장 | 통일부장관, 외교통상부장관, 국방부장관, 국가정보원장,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장, 국무조정실장 | 행자부, 문광부, 복지부, 환경부, 노동부, 여성가족부, 기획예산처장관, 국무조정실장, 국정홍보처장, 국가청소년위원장, 대통령비서실사회정책수석, 시민사회수석 |
회의 | 주1회 | 월1회 | 의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 | 주1회 | 격주1회 |
국무조정실 《정책조정백서》 2004
이송호. 국민의 정부 분야별 관계장관회의에 대한 분석과 평가. 「한국행정학보」37(3): 1-22.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