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수송및교통

대구지하철 공사장 가스폭발 사고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내용

1. 개요

1995428일 대구시 상인동 70번지 영남중고교 앞 네거리 대구지하철 1호선 제12구간 공사장에서 일어난 가스폭발 사건이다. 인근 대구백화점 상인점 신축 공사장에서 지반을 다지기 위한 천공작업 중 그 부근을 지나던 지름 100mm의 가스관을 파손해 이 가스관으로부터 새어 나온 가스가 하수관을 타고 지하철 공사장으로 흘러들어 괴었다가 폭발하였다.

천공작업을 하던 ()표준개발은 가스관이 파손된 지 30여 분이 지난 뒤에야 도시가스 측에 신고하고, 신고를 받은 대구도시가스 측도 신고 후 30여 분이 지난 뒤에야 사고현장으로 통하는 가스밸브를 잠그는 등 늑장 조처로 큰 피해를 초래했다. 폭발음과 함께 50m의 불기둥이 치솟았으며, 지하철 공사장 복공판 400m 구간이 내려앉아 차량 150대가 파손되고 주택, 건물 등 80여 채가 파괴되었다. 그리고 등교 중이던 학생 42명을 비롯하여 사망 102, 부상 117명 등 220여 명의 사상자를 냈다. 피해액은 약 600여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2. 사고원인 분석

대구 상인동 지하철 가스폭발사고 원인규명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도시가스사업법에 가스 배관은 지하 1m 이상 깊게 매설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상인동 가스폭발사고의 경우에는 가스관이 불과 지하 30cm에 묻혀 있었다. 또한 지하철 공사장과 같은 대형 공사장에서 지하굴착 작업을 할 경우에는 해당 지역에 가스관을 매설한 가스회사와 연락해 관이 묻힌 위치 등을 문의한 후 공사를 하도록 되어 있으나 실제적으로 공사 관계자들이 주먹구구식으로 공사를 시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할 관청의 담당자들도 현장 관리에 소홀하여 안전조치를 원칙대로 실시하지 않아 대형 재난으로 이어졌다.

상인동 가스폭발사고의 경우 지하 굴착 작업에 앞서 가스관·상수도관 등 지하매설물의 위치를 도면으로 정확히 확인하고 수작업을 통한 작업을 시행하는 것이 기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스관이 파손된 곳에서 용접작업을 하던 불꽃이 튀어 대형 재난이 발생한 것이다. 사전에 공사업자들이 지하매설물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수작업을 통해 원칙대로 작업을 실시하고, 공사감리자들과 담당관료들이 현장감리를 철저히 하는 안전조치를 취했더라면 상인동 가스폭발사고는 막을 수 있었다.

또한 도시가스회사 직원이 신고를 받고 현장에 출동하는 도중 폭발이 발생하자 황급히 사고지점 인근의 맨홀을 뛰어다니며 4개소의 벨브를 손으로 조작하여 비로소 가스공급을 차단할 수 있었다. 즉 가스누출에 따른 자동경보 및 대응체제가 부족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각 가스회사의 근무 인원이 소수에 불과해 도심지 지하에 광범위하게 매설되어 있는 가스관로 주변의 안전 점검이 허술할 수밖에 없었고, 광범위하게 매설되어 있는 가스관로 주변의 안전시 출동이 어렵다. 따라서 누출지점 파악이나 수작업에 의한 밸브차단 등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었다.

 

3. 사고 후 대책

이 사고로 인해 지하 매설물에 대한 전산대장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당국의 안전관리 행정에 대한 비판이 크게 일었으며, 긴급 구난체계 및 통합 구조체계의 정비에 대한 정부와 국민의 목소리가 높아져,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대책기구가 설립되고, 도로법도시가스사업법등 관계 법령의 개정을 가져왔다.

집필자
박규영(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연구원)
최초 주제 집필
2007.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07.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