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과학기술

지역예보시스템 구축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기상업무법」

배경

지역예보는 전통적인 기상예보의 중요 요소로서 특히 제한지역의 수치예보는 일기예보에서 그 중요성이 점차 커지게 되었다. 또한 지역예보는 전지구적인 예보모형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구축되고 있으며, 공간적 범위도 아시아 지역에서 게릴라성 집중 호우 등이 나타나는 아주 좁은 지역에 이르기까지 넓어지고 있고, 단기예보 모델과 중장기 모델 등 시간적으로도 다양한 형태의 모형이 개발되고 있다. 


수치예보는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1950년대에 개발된 예보시스템으로 우리나라에서는 1987년부터 지속적으로 수치예보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일기예보에서 수치예보가 차지하는 중요성이 점차 커지면서 1989년에 수치예보반을 발족시켜 동아시아 지역을 포함하는 제한지역모델과 아시아를 포함하는 제한지역모델을 개발하였다.

내용

가. 기상예보용 컴퓨터 도입과 제한지역모델 개발
1989년 기상분석용 컴퓨터(Cyber932-32)를 도입하여 운영하였고, 1994년10월에는 일본 후지쓰 사의 수퍼급 컴퓨터(VPX220/10)를 리스로 도입계약을 하고, 1995년 2월부터 시험운영을 거쳐 1995년 3월 세계기상의 날을 기해 본격적으로 가동에 들어갔다.
한반도를 포함하는 극동아시아 지역의 제한지역모델(FLAM)은 미국 국립대기과학연구소의 중규모 모델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1990년에는 1990년부터는 해양모델을 이용한 해상풍과 파고에 대한 예상도를 산출하기 시작했으며, 1991년에는 수치예보반이 수치예보과로 개편되면서 두 개의 제한지역모델에서 대기패턴에 대한 예상 일기도를 매일 산출하여 예보에 직접 활용함으로써 실질적인 수치예보 시대를 열었다.



나. 세계기상통신망(GTS: Global Telecommunication System) 구축
1971년 6월 서울-동경간 50bps 속도의 직통 유선망을 개설하여 우리나라의 관측 자료를 세계기상통신망으로 배포하는 한편, 외국의 기상 자료를 빠르게 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1994년에는 동북아시아 지역의 또 다른 지역통신센터인 북경과도 GTS 망을 접속하였다.



다. 국지악기상 연구 및 예보 시스템 구축
국지기상 연속감시시스템은 집중호우와 같은 소규모 악기상을 감시, 추적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전국 460여개소의 자동기상관측장비에서 관측된 자료를 1분마다 수집하고, 강수량, 기온, 바람 등을 그래픽으로 분석하여 국지기상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시스템이었다. 1995년에 발주하여 1996년 하반기에 기본적인 업무처리 개발을 완료하였으며, 1997-1998년에는 방재기상시스템 사업으로 지속적인 보완을 하였고, 1999년부터는 웹 방식으로 자료를 검색하거나 그래픽으로 나타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개인 PC에서도 악기상 감시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국지악기상예보시스템은 집중호우의 발생과 발달을 예보하기 위하여 그동안 기상청에서 수행한 한반도악기상예보모델 적용실험(TAKE project: Test of ARPS over Korean Environment)과 관련하여 기술용역사업과 미국 오클라호마 대학의 악기상 예보분석센터(CAPS: Center for Prediection and Analysis of Storms)와의 공동 연구를 통하여 구축한 수치예보시스템이었다. 2000년 8월 기상청은 CAPS와 용역계약을 체결하여 기상청 슈퍼컴퓨터에서 운영되고 있는 국지악기상예측모델인 ARPS(Advanced Regional Prediction System)의 수행 속도를 증가시키고, 모델 초기화 과정에 다양한 레이더 자료를 사용하기 위한 용역 사업을 추진하였다.

참고자료

과학기술처,《과학기술처30년사》, 1997
기상청,《기상연감》, 2002
과학기술처,《과학기술연감》, 2002
교육과학기술부 홈페이지(http://www.mest.go.kr/)
기상청 홈페이지(http://www.kma.go.kr/)

집필자
임경순(포항공과대학교 인문사회학부 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7.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07.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