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재해대책법」
우리나라의 계기 지진관측은 1905년 인천관측소에 기계식지진계를 설치함으로써 시작되었다.해방 후 지진관측업무는 중단되었다가 1963년 3월에 와서야 미국지질조사국의 세계지진관측망 사업의 일환으로 지진관측이 재개 되었다. 1978년 홍성지진을 계기로 장비현대화 사업에 힘입어 1990년 초에 12개소의 관측점을 갖는 온라인 지진감시시스템을 구성하게 되었다. 그러다가 1996년 12월 13일 영월지진과 1997년 경주 지진으로 국가의 지진방재체계에 대한 전면적인 보강이 필요해지면서 정부는 지진 관측 사업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우선 1996년에「자연재해대책법」에 지진 방재에 대한 법 조항이 추가되었다. 여기서 지진통보 업무가 기상청의 임무로 부여되고 지진 정보 대국민 서비스 전개를 위한 종합적, 체계적 지진 관측 인프라 조성이 요구되었다.
1997년 7월 7일 국무조저일 주관 ‘지진 및 원전 안전대책회의’ 결과 지진 관측망 보강사업의 추진을 위하여 52억 원의 예산으로 국가 지진 관측망 확충사업을 추진하였다. 동 사업은 당초 1999년 완료계획이었으나 추진과정 중에IMF 등 어려운 국가 경제 사정으로 2002년까지 순연되었다. 이리하여 2002년까지 지진관측망 31개소, 가속도관측망 75개소, 지진분석시스템 1조, 해일파고계 1식 및 국가지진정보시스템 1조를 구축으로 하는 제1단계 지진관측망 확충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
또한 기상청 이외의 타 기관과의 지진 자료 공유네트워크 구축으로 한국지질자원연구소 등의 연구관측망을 기상청 지진관측망과 연결한 42개소의 통합지진관측망을 46개소로 확장, 연결하였다.
가. 지진 관측망 보강
지진 관측망 보강을 위해 단주기 지진계, 가속도계 등과 같은 지진 관측 장비를 도입, 설치하였으며, 국가지진정보시스템 구축, 통합지진관측망 확장 연결 등의 사업을 추진하였다.
나. 국가지진정보시스템 구축
2002년 말까지 지진관측망 31개소 및 가속도관측망 75개소 등의 기본적인 관측망이 구축되었으나 지진 자료 DB 구축과 통보체계 개선을 위해 새로운 자료 처리 기법과 지진 정보 서비스 확충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를 위해 정부는 2002년 1월 7일 지진 자료 DB 구축과 통보체계 개선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본 사업의 명칭을 ‘국가지진정보시스템(National Earthquake Information System: NEIS)라고 명명하였다. 본 사업은 지진분석시스템, 지진통보시스템, 웹서버 시스템으로 구성되었으며 지진 자료 DB 구축으로 종전의 10일간 지진 자료를 1년 저장 용량으로 보강하였고, 자동 통보 체계를 구축하여 신속한 지진정보서비스 및 웹서비스 체계를 마련하였다.
다. 지진 관측 환경의 개선
정부는 최첨단 디지털식 지진관측장비를 1997년부터 도입하여 기상관서에 설치하였으나 기존의 기상관서는 주변이 산업화, 도시화에 의해 잡음의 유입이 많았고 고감도 지진관측장비의 설치장소로는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어 지진계실을 이전하여 설치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2000년에는 광주, 울진, 서산의 지진계실을 신축, 이전하였으며, 2001년에는 부산, 대구, 충주, 춘천, 대관령, 제주, 서귀포 등 7개의 지진계실을 신축, 이전하였다.
기상청, 《기상연감》, 2002
과학기술처,《과학기술연감》, 2002
교육과학기술부 홈페이지(http://www.mest.go.kr/)
기상청 홈페이지(http://www.km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