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통계

최초의 국민소득추계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1951년 한국산업은행에서 진행한 최초의 국민소득 추계

배경

국민소득통계는 국민소득 및 그와 관련한 통계의 총칭으로, 한 나라의 경제활동에 의하여 새로이 산출되는 재화와 용역의 가치를 나타내는 통계이다. 일종의 종합통계이기 때문에 기초가 되는 각종 경제통계의 제약을 받는 일이 많으면서도, 그 나라의 경제의 실태를 밝힐 목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구성은 기술적 ·사회적 ·경제적 사정에 지배된다.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후 최초 국민소득 추계 사업은 1951년부터 시작되었다

경과
도시가계조사는 일제시대인 1942년부터 시작하여1945년 해방 당시까지 계속되었으나 이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대한민국정부 수립후 1951년 7월에 한국은행에서 유의표본 방식으로 부산의 60가구를 대상으로 생계비 조사를 실시한 것이 최초의 국민소득 추계이다.
내용

1951년에 최초의 국민소득 추계 이후 1954년부터 1959년까지 한국은행에서 서울 근로자 200가구를 유의추출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한국의 국민소득통계는 1952년에 내한하여 〈한국경제 재건계획〉을 작성한 네이선(Nathan)사절단에 의해서 일대전기가 마련되었으며, 한국은행 조사부는 이를 더욱 발전시켜 비교적 정밀한 추계를 하게 되었고, 1958년부터는 공식 추계기관으로서 국민소득의 전 흐름을 추계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발간한 통계자료에 의하면 최초의 국민소득 추계자료는 1953년 1인당 국민총생산(GNP) 67달러(1975년 기준)이며 가장 최근의 국민소득 추계자료는 2005년 1인당 국민총소득 16,291달러(2000년 기준) 이다.



참고로 국민소득추계방법과 3면등가의 법칙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일반적으로 국민소득 통계를 작성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추계(推計)방법이 연구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은 다음의 4가지 방법이다. 


1. 물적 방법 : 각 산업별로 그 기간의 부가가치를 산출하여 이를 합계하는 방법


2. 인적 방법 : 그 기간에 생산된 부가가치 중, 노동 ·자본 등의 각 생산요소에 귀속되는 부분을 구하여 이를 전 생산요소에 합계하여 추계하는 방법


3. 생산물 집계법 : 개인 ·기업 ·정부 등 최종 사용자가 구매하는 최종 생산물을 조사함으로써, 어떤 기간에 새로이 생산된 부가가치를 경제활동의 지출면에서 파악하는 방법


4. 소비저축법 : 국민소득 순환의 지출면에 주목하여 추계하는 점에서는 생산물 집계법과 같으나, 특히 투자지출의 추계에서 자금의 흐름을 추구하는 점이 특징적이다. 국내 총자본형성의 자금면을 추적하여 개인저축 ·법인저축 등을 합계하여 투자지출을 추계하는 방법과, 기업의 자금형성에 필요한 자금 조달면에서 추계하는 방법이 있다. 


국민소득 계산에 있어서 3면 등가의 법칙과 사회회계원칙은 다음과 같다.
1. 국내총생산을 생산, 지출 및 분배의 어느 단계에서 측정하든 동일한 금액이 나온다
생산 GDP = 지출 GDP = 분배 GDP 


2.사회회계원칙
- 생산된 생산물 중 팔리지(지출되지) 않은 것(재고)은 재고투자 지출로 간주함
- 기업의 생산액중 지급하고 남는 과부족은 이윤(영업이익)으로 간주한다. 


3. 지출 GDP(2003년 경상 721.3조원) = 지출의 행위자별(목적별) 구분
= 민간소비지출 + 정부소비지출 + 투자지출 + 순수출(=수출 - 수입)

참고자료

통계청 홈페이지 (http://www.kostat.go.kr)

집필자
김용대(서울대학교 통계학과 부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06.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