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정보통신

국가환경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국가환경종합정보시스템 사업〉환경부

배경

환경부는 지난 5년간의환경정보화 추진성과를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선진 환경서비스 정착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실현할 수 있는 세부 실천방안으로서 본 조사대상사업인 ‘국가환경 종합정보시스템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기존의 환경정보시스템은 분야별로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상호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므로 행정업무 효율성과 대국민 행정서비스 수준이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가환경 종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기존 환경부 내의 30개 환경정보시스템을 포함하여 향후 구축될 시스템을 ITA관점에서 체계적으로 통합하고, 관련 기관의 기존 환경정보시스템과의 상호 연계성을 제고하며, 대국민 환경행정서비스를 논스톱, 원스톱,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선진화된 환경정보서비스 기반을 구축하고자 한다.

내용

1. 환경 행정 업무의 BPR/ISP
환경행정업무의 BPR/ISP, 환경정보의 통합, 대국민 환경행정서비스 개선의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목표시스템 개발에 앞서 기추진된 환경정보화의 추진성과와 문제점을 진단하고, 주요 관련기관 및 현장의 요구사항을 분석한 뒤 목표시스템 개발계획을 수립한다. 환경 분야에 관련된 모든 기관(예: 환경부, 소속기관, 산하단체, 지방자치단체, 행정안전부,국토해양부 등)이 참여하는 가운데 환경행정업무 전반에 걸친 업무재설계(BPR)와 국가적 차원에서 중장기 환경정보화 기본계획(ISP)을 수립한다. 이 과정에서 관련 서식과 다양한 환경 데이터의 표준화 방안을 강구하며, 검색 및 입력방법을 통일하여 효율적 업무수행 및 서비스제공이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2. 환경 정보의 통합
환경 분야의 정보시스템 통합관리에 의한 정보공동활용 및 업무 연계체계와 방안을 구축하는 데 있다. 환경분야에 관련된 여러 기관의 통합정보 네트워크 구축이라는 큰 프레임워크 내에서 정보 구축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업무 정보화의 관점에서 관련 정보의 통합, 외부 사용자에 대한 정보제공 체계, 관련 기관간 정보공동활용 체계를 구축한다. 따라서 관련 기관간의 중복투자를 방지하고, 기존 정보자원의 공동관리 및 활용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관계부처의 환경 정보화와 시군구·시도 환경정보화를 총괄하는 계획을 범정부적 차원에서 구현한다. 기술적 관점에서 보자면 기존 환경정보자원에 대한 계층적 구조와 메타 데이터베이스(Meta Database)를 구축하는 것이다. 제도적으로는 정보자원의 공동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법·제도 정비는 물론이고, 향후 국가적 차원에서 환경정보화 사업을 총괄·조정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포함한다.


3. 대국민 환경 행정 서비스의 개선
국민 환경행정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하여 원스톱, 논스톱 민원처리서비스 체계를 구축한다. 이러한 서비스는 포털사이트의 단일 전자창구에 의하여 온라인으로 제공하며, 국민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환경정보, 환경정책, 대기오염도, 황사, 오존 등 기상정보, 하천 수계도와 측정지점별 수질현황, 상수도 공급체계와 먹는 물 수질 상태, 식생 동식물 등 자연환경 현황, 생태 관광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GIS기반으로,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정보서비스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참고자료

환경부 홈페이지(http://www.me.go.kr/)
예하미디어편집부,《요점 지구환경정보시스템》 예하미디어, 2006

집필자
홍봉화(경희사이버대학 정보통신과 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06.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