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과학기술

안면도 핵폐기장 반대시위(1990)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발생원인

1984년 10월 13일제211차 원자력위원회에서 저준위폐기물은 육지에 처분하되 원전부지 외부에 집중식으로 영구처분시설을 건설한다는방사성폐기물 관리 기본원칙을 정함에 따라, 방사성폐기물 관리시설 건설을 위한 부지확보가 추진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처분방식과 부지용도를 결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 국토를 대상으로 처분 가능지역을 검토하였다. 그 후 1986년부터 1987년에 걸친 한국전력기술(주)의 환경현황 조사용역 결과와 미국 바텔Battelle과의 부지 선정방법에 관한 공동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경북 울진, 영덕, 영일을 중·저준위폐기물 동굴처분시설, 사용 후 핵연료 중간저장시설이 입지하는 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 건설 후보지로 선정하였다. 그러나 경북의 3개 후보지를 대상으로 부지조사에 착수한 1989년에 이러한 사실이 주민들에게 알려지면서 후보지역마다 반대 투쟁위원회가 결성되고 국도를 점거하는 등 반대활동이 격화되어 부지조사를 중단하기에 이르렀다. 


경북일원에 대한 조사재개 가능성이 희박해지자 1990년도에 들어서면서 부지확보에 대한 새로운 방향이 모색되었다. 즉, 사용 후 핵연료 중간저장시설과 연구시설을 위한 부지를 원자력 제 2연구소 부지개념으로 우선 확보한 후 인근에 저준위폐기물 처분시설 부지를 선정하는 것으로 추진방침을 정했다.

내용

방사성폐기물 관리사업의 필요성과 시설입지로 인한 지역발전 가능성을 공감한 충청남도는 제2연구소의 입지를 지역개발문제와 연계하여 추진키로 하고 그 후보지로 안면도를 추천하였다. 그 결과 과학기술처(현 교육과학기술부)와 원자력연구소가 1990년 11월 2일 안면도에 방사성폐기물 연구기설을 건설하겠다고 발표하자 지역주민들의 반대운동은 격렬한 시위로 확산되었다. 정부당국은 반대운동을 진압하기 위하여 동년 11월 6일 연륙교에서 최루탄을 사용함으로써 지역주민들의 반대운동은 더 확대되었고 저항양상도 격렬해졌다. 반대운동에 참여한 주민들은 안면읍 사무소를 일시 점거하기도 하였으며, 차량과 안면 지서를 방화하기도 했다. 11월 8일 과학기술처와 충청남도는 안면도 방사성폐기물 처분 연구시설의 건설계획을 백지화한다고 발표하였으며, 이후 격렬했던 반대운동은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

참고자료

김경동·홍두승,《원자력과 지역이해 : 사회과학적 접근》한국학술정보(주), 1992
한국원자력연구소,《한국원자력연구소40년사》한국원자력연구소, 2001

집필자
문만용(서울대학교 강사·과학사)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14. 0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