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관리 업무 3단계
-
처리과생산
- 전자기록생산시스템
-
- 기록의 생산
- 기안, 결재, 유통
- 등록, 분류, 편철
- 공개여부 결정
- 생산현황 보고
- 이관
-
비전자 : 보존기간 기산일부터 2년 이내
전자 : 생산 다음 년도
-
기록관중간보존
- 기록관리시스템
-
- 생산현황 접수, 보고
- 기록물 수집, 이관
- 기록관리 기준표 관리
- 기록물 스캔
- 서고관리
- 공개재분류, 활용
-
보존기간 가산일부터 10년 경과한 다음 년도
-
영구기록물관리기관영구보존
- 영구기록관리시스템
-
- 기록관 기록물 수집
- 기록물 영구보존
- 기록물 기술
- 보존매체 수록
- 공개재분류, 활용
- 기록관리 기준 관리
* 보존기간 기산일 : 기록물 생산 다음년도 1.1.
- 기록관리
-
- 기록을 적법ㆍ적절하게 생산ㆍ관리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불필요한 기록을 폐기하고 증거적 가치나 영구보존 가치가 있는 기록을 보존하여 쉽게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일을 말한다.
- 기록물의 생산부터 활용까지의 모든 과정에 걸쳐 진본성, 무결성, 신뢰성 및 이용가능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 제1단계 : 처리과
-
- 처리과에서는 효율적으로 기록을 생산하고 이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록을 관리하며, 현행업무를 수행하는 중에 기록을 관리하는 것을 현행기록관리라고 한다.
- 현행기록관리에서 중요한 것은 법률과 규정에서 요구되는 기록을 반드시 생산하여야 한다는 것과 꼭 필요한 기록을 경제적ㆍ효율적으로 생산해야 한다는 것이다.
- 현행 업무 중에 생산된 기록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록물을 적절하게 분류 및 편철하여야 하고 쉽게 찾을 수 있어야 한다.
- 제2단계 : 기록관
-
- 기록관은 기록물의 보존ㆍ관리 및 활동 등 해당 기관 기록물 관리 업무의 전담기구로서 해당 공공기관 기록물의 수집, 보존 및 활용하고 영구 기록물 관리기관으로의 기록물 이관 및 영구 기록물관리 기관과의 협조에 의한 기록물의 상호활용 및 보존의 분담, 해당 공공기관의 기록물에 대한 정보공개 청구의 접수 등 기록물 관리업무를 전담한다.
- 기록정보센터로서의 기능 수행기관으로서 공무수행관련 각종 기록물을 관리하고, 기록정보를 신속하게 검색활용하도록 함으로써 전자정부의 구현 및 행정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역할을 담당 한다.
- 기록관에서는 해당 기관의 기록관리 정책 및 업무절차를 수립하여야 하고, 기록의 지적ㆍ물리적 통제 및 기록물의 물리적 보호환경을 구축하여 기록물 관리에 최선을 다하며, 기록물의 보존기간 책정 지원, 보존가치의 잠정적 평가, 기관의 일반기록관리교육과 같은 핵심적인 업무를 수행한다.
- 제3단계 : 영구기록물관리기관
-
-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은 기록물의 영구보존에 필요한 시설 및 장비와 이를 운영하기 위한 전문인력을 갖추고 기록물을 영구적으로 관리하는 기관을 말한다.
- 중앙기록물관리기관(국가기록원), 헌법기관기록물관리기관(국회, 대법원, 헌법재판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지방기록물관리기관 및 대통령기록관이 있다.
-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은 관할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ㆍ시행, 기록물관리 및 기록물관리 관련 통계의 작성ㆍ관리, 기록물관리에 관한 지도ㆍ감독 및 지원, 기록물관리 종자에 대한 교육ㆍ훈련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