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모바일 전용 메뉴 호출

R&D연구보고서

차세대 전자기록관리 인프라 응용기술 연구개발사업
연구책임자 김익한 연구참여자 3명
연구기간 2011- 04- 27 ~ 2011- 11- 30 분야 전자기록
발간등록번호 11-1311153-000192-01
첨부파일
국문요약 ❒ 연구목표 ० 2015년 본격적인 전자기록 이관에 대비하여 전자기록 생산, 기록관에서의 중간관리, 영구기록관으로 의 이관 상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 지점 확인 및 문제해결의 방향과 방안 마련 ० 다(多)포멧 대량 이관을 현실화 할 수 있는 각종 자동화 도구 개발, 무결한 관리를 위한 방법 및 검증 도 구의 연구개발, 이를 현실화 할 수 있는 15년 이관 대비 대량 이관 자동화 도구 연구 개발 및 적용 검증 ० 대량 전자기록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인프라 응용기술, DB관리방안의 연구 및 모델링 ❒ 각 세부연구과제별 연구 결과 ० 제 1 세부연구과제 대량기록물의 효율적 처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배치형상 및 설계요소 제시 국가기록원의 보존전략을 고려했을 때 효과적·효율적인 맞춤형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제시 국가기록원에서 관리하는 기록물의 생애주기별 관리단계와 프로세스를 정의함 기록물 관리 시 자동화 처리 대상을 고려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요건 도출 및 주요 엔티티 설계 대량처리의 관점에서 국가기록원에서 향후 10년 내에 채택할 가능성이 높은 기술 기반을 검토하여 선정 하고 선정한 기술의 적용방안을 수립 외산 기록관리시스템에서 DBMS의 역할을 살펴보고, 입수단과 보존단, 제공단 별로 DBMS에 요구되는 특별한 성능요건을 확인 현재 기록관리시스템에서 사용중인 주요 외산 DBMS와 국산 DBMS의 성능을 비교하여 국산 DBMS의 사용가능성을 확인 ० 제 2 세부연구과제 이관자동화 : 영구 전자기록관리를 위한 CAMS 라이프사이클관리 정의 및 제안 이관자동화 : 이관지원 가능한 자동화 도구로서 RMS-CAMS DB테이블을 통한 메타데이터 요소를 분석하고 전자기록관리 를 위한 CAMS 현황 분석 이관자동화 : 기능시소러스 구축사업 및 유사사례 분석을 통한 유형분석, 실제 단위업무 및 단위과제 매핑작업 이관자동화 : 비현용기록물 메타데이터 지침 및 영구기록물기술규칙 매핑작업을 통한 영구기록물의 정리기술 자동화 방안 연구 이관지원 가능한 자동화 도구 개발 및 테스트베드 구현 종추적 무결성 검증 : 기술요소 연구(전자서명, 타임스탬프, HASH 알고리즘 등) 종추적 무결성 검증 : 무결성 검증을 위한 시점분석 종추적 무결성 검증 : 전자기록물 장기검증 체계 규격 분석 종추적 무결성 검증 : 무결성 훼손시점 추적가능한 무결성 검증규격 확정 및 테스트베드 구현 ० 제 3 세부연구과제 다양한 형식의 전자파일 모맷에 대한 ‘파일포맷검증’ 기능 구현 다양한 형식의 파일 인식 여부 및 암호 유무를 파악하는 ‘파일유효성검증’기능 구현 본문으로부터 메타 추출 및 인텍싱을 통한 ‘메타추출비교검증’ 기능 구현 기록물건에 포함된 원문 및 첨부 파일에서 텍스트 추출 및 형태소 분석을 통한 주제어의 ‘기록물색인기술’ 구현 크로스플랫폼 기반에서 대량 문서에 대한 자동분류 및 클러스터링 기술과 대용량 파일의 스트리밍 기술을 적용한 모바일 통합 서비스 방안
영문요약 ◎ Research Purpose 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preparation for mass electronic records transfer from public agencies into NAK. Potential problems to occurcsolutions and strategy for dealing with these problems will be developed and suggested. o Automated tools for the mass transfer of various formats will be developed, as well as the tools for the integrity control and validation. Also the test bed to realize these will be developed for the preparation of the mass transfer of electronic records to NAK starting the year of 2015. o Research will be conducted and modeling will be developed for the infrastructure of application technology and DB management strategy on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he mass electronic records. ◎ Research Result o Research Task Number1 The deployment shape and designing principle of database system were suggested to process efficiently the mass electronic records. Efficient and effective database architecture, which consider the NAK's preserving strategy, was suggested. The management point and process in each life-cycle of records were defined. The requirement of database schema was retrieved and main entities were designed. The infrastructure of technologies, which can be adapted within the next 10 years, was selected and adapting methodologies of them were established. After checking the roles of DBMS in the record management system, the requirement for performance enhancing in ingest system, preservation system, and access system. The opportunity of domestic DBMS was confirmed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foreign DBMS and domestic DBMS. o Research Task Number2 The present condition analysis for a coffin electronic records administration leads and large dosage electronic record transfer situation preparation the automation tool embodiment which is possible. For a preservation and the management which coffin electronic record are stable whether to damage tracking is possible and the verification systematic preparation will be able to verify this and tool embodiment Like this research and development leads and hereafter will be able to confront effectively in the large dosage electronic record transfer which will be magnified o Research Task Number3 Implementing the validation format of files in electronic records. Implementing the extraction of data from content of files and validating by indexing and comparing against metadata attached to the electronic record. Implementing the functionality of indexing keywords through extraction and morphological analysis. Providing automatic classification and clustering methods for large volumes of documents based on cross-platform technology and an integrated mobile service scheme through streaming large files.
이전글 FT-NIR을 이용한 종이재료 특성 진단도구 재현성 고도화 방안 연구 개발
다음글 모바일 테블릿을 이용한 국가기록서비스 모델 연구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