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모바일 전용 메뉴 호출

R&D연구보고서

탈산 처리 기록물의 상태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이상규 연구참여자 6명
연구기간 2013- 05- 07 ~ 2013- 11- 30 분야 종이기록
발간등록번호 11-1312125-000011-01
첨부파일
국문요약 현재 국내에서는 미국의회도서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비수성법을 이용하여 산화마그네슘(MgO)을 종이기록 물에 흡착시켜 기록물을 중화시키는 방법으로 탈산공정을 행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탈산처리 시스템이 도입 된 지 10년이 지난 시점에서 탈산 시스템에 대한 종합적인 진단과 평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국내외 탈산처리 시스템에 대한 고찰과 함께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국산 및 국외 탈산처리제를 분석함으 로서 물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기록물을 다양한 처리 방법으로 탈산처리 함으로서 효과적으로 탈산처리 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기 탈산처리된 기록물에 대한 상태평가를 통해 탈산처리 시스템에 대한 종합적인 진단과 평가를 하고, 현행 처리제와 장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1995년 미국의회도서관에서는 탈산처리에 적합한 탈산법을 찾기 위하여 Wei T’o, Bookkeeper, Papersave, FMC, DEZ, BPA법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Bookkeeper법은 열화속도를 2-4배로 낮추었고, pH 5.7-6.5의 산성 지가 처리 후 pH 9-10을 나타냈으며, 가속열화 이후에도 8.0-9.5로 약간만 감소하여 탈산처리에 적합한 탈산 법으로 평가되었다. 각 탈산법에 사용되는 원료물질의 안전성 및 독성을 조사한 결과 역시 Bookkeeper법의 원료로 사용되는 산화마그네슘과 Perfluoroheptane의 인체 안전성이 다른 물질보다 우수하며, 독성도 가지고 있지 않고 있어 10 여 년전 국내 탈산시스템으로 Bookkeeper과 유사한 탈산시스템을 연구개발한 것은 합당한 판단이었다고 사료 된다. 국내 탈산처리시스템에서 탈산처리된 문서의 종이 섬유질 형상을 비교해 본 결과, MgO 입자의 종이표면 과량 흡착과 상대적인 미량 흡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바로 이러한 MgO 입자의 과량흡착이 백화현상을 유발 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는 특히 입자 크기가 ∼1,100 nm 정도인 탈산제로 처리한 산성지와 백상지에서 모두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현상이다. 따라서 MgO 입자크기가 ∼900 nm 정도로 탈산제를 제조한다면 백화현 상은 현저히 감소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탈산액의 농도가 MgO 0.3wt% 까지는 백화현상이 비교적 적게 나 타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탈산처리시 발생하는 백화현상은 용제로 린스하여도 백화현상이 감소 내지는 제거되지 않았다. 탈산장비에 투입되는 기록물의 형태가 주는 영향을 고찰한 결과, 촘촘한 묶음보다는 다소 헐거운 형태의 서적 투입이 MgO 의 흡착 효율성이 증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낱권으로 투입될 경우, 대체적으로 MgO 함량이 증가되는 것으로 보아 촘촘한 묶음은 탈산업무의 효율적 측면에서 낱권으로 투입할 수는 없더라도 좀 느슨한 형태의 묶음으로 투입하는 것이 흡착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을 것이다. 성남 나라기록관에 보존중인 기록물 중 2012년까지 12년 동안 탈산처리된 기록물총 112,970권 중 탈산처리 년도별로 수량을 고려하여 1,035권(전체 기록물의 약 1%)을 샘플링하여 각 기록물의 첫 장, 1/4 지점, 1/2 지 점을 선택하여 pH 및 백색도 측정을 하였다. 그 결과 pH의 변화의 폭은 4~10까지 넓게 분포하고 있었다. 미국 의회도서관에서 pH 처리 하한선으로 설정한 pH 6.8 미만의 기록물을 분류하여 특징을 분석한 결과 종이의 재 질이나 생산년도가 오래된 기록물에서 pH가 낮게 나오는 것이 아니라 탈산 처리된 년도에 따라 변화의 폭이 심하게 나왔으며, 특히 pH 6.8 미만의 기록물은 2006년 이후에 탈산처리된 기록물에서 심하게 분포되어 이 부 분에 대한 원인 규명이 필요하다. 현재 국내에서 운전하고 있는 탈산처리 시스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안하기 위하여 국내 탈산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기관에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회수된 탈사제와 2.5% 고농도 탈산제를 섞 을 때 농도조절 문제, 탈산처리 기록물 선별 기준 부재, 탈산 처리된 기록물에 대한 체계적인 품질검사가 전무 등의 문제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어느 기관 한 곳이 노력하기 보다는 탈 산제를 제조하는 회사, 탈산장비를 제작하는 회사, 탈산시스템을 사용하는 기관의 실무자들이 서로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해야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요약 The papers consisting of cellulose fibers can be hydrolyzed to become a degradation of them. To prevent this, massive deacidification systems have been used about 10 years. It had investigated the deacidified operating system and regulation especially in Library of Congress in U.S.A. and reviewed the technology trend in commercially used. It had carried out the study on state assesment of deacidified archives and comprehensive diagnosis of them as well as deacidification system which have not been investigated recently. It had selected 4 kinds of papers and 2 kinds of commercial deacidification chemicals of which is a well known chemical in oversea’s. Those papers and chemicals was taken several essential tests to save as a raw data. Specially, the particle size analysis of chemicals yields a very important results. It was carried out the study of improved deacidification system and test method of deacidification chemicals on the basis of surveying of the related its operation system and oversea’s deacidification chemical. It was also taken the performance test which would be figured out the relative excellency regarding domestic and oversea’s deacidification chemicals. One of the frequently occurring problem is that the white MgO particles are shown in the cover of archive’s materials or books. To verify these kinds of symptom, it had carried out various experiment on the basis of particle size and its concentration. To define a performance of deacidification chemicals, it had taken acceleration test for the period of 2 weeks and 4 weeks. Testing papers were compared with mechanical properties, basicities, and the amount of MgO particles in the surface of papers. All of tested papers took the instrumental analysis such as SEM and ICP and the titration to define the basicity of total alkaline residue. All of tested papers got the pH data basically to figured out trend of basicity. From the these research it had achieved to suggest an improved operational guideline as well as the production criteria of deacidification chemical.
이전글 기록물 소독체계 진단 및 개선방안 연구
다음글 중요기록물의 보존상자 구조설계 및 편철방식 개선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