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모바일 전용 메뉴 호출

R&D연구보고서

중요기록물의 보존상자 구조설계 및 편철방식 개선연구
연구책임자 박지선 연구참여자 9명
연구기간 2013- 05- 09 ~ 2013- 11- 30 분야 종이기록
발간등록번호 11-1312125-000018-01
첨부파일
국문요약 국가기록원 소장 중요기록물은 현재 성남 나라기록관, 대전 기록관, 부산 역사 기록관에 나누어 보관되어 있는데 보관방식이 통일되어있지 않으며 기록물의 형 태, 손상에 따른 보존방식 및 편철방식이 고려되고 있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번 연구에서는 보관방식의 문제점을 밝혀내고 개선하고자 나라기록관과 역사기록관 의 중요기록물의 보관상태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가장 큰 문제는 기록물의 형태에 따른 보관폴더와 보관상자의 형태가 일관되지 않는 점이었다. 즉 보관상자를 세우거나 눕히는데 일정한 규칙이 없었 으며 보관상자도 일체형과 분리형의 구별 이유가 없이 제작되고 있었다. 또한 현 재 사용되고 있는 폴더와 봉투, 보존상자에 사용된 종이의 보존성이 검증되지 않 은 것이었다. 그리고 편철방식도 과다하게 많은 양을 한꺼번에 묶어 기록물을 열 람하기 불가능하였으며 작은 폴더는 금속클립을 사용하여 기록물 한부분에 과다 한 압력이 가해지고 있었다. 국내·외 조사와 전통방식의 상자를 조사하여 본 사업의 목표인 한지를 이용한 폴더와 보존상자를 개발하였다. 전통상자에는 전통문양인 능화문을 이용하였고 가공에 사용된 밀랍은 한지 표면의 섬유의 부풀음을 방지하였다. 또한 내용물의 종류에 의해 색상을 구분하여 한눈에 기록물의 종류를 판별하여 작업의 효율성 을 높이도록 했다. 편철방식은 기록물을 소량으로 나누어 폴더에 보관하고 폴더방식을 V자형 방 식과 十자형 방식으로 응용하여 개발하였고 폴더의 내부에는 닥섬유로 제작된 한지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양지로 제작된 기록물의 보존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초기의 목표인 보존상자 구조설계나 편철방식에 대해 새로운 방식 을 제안함과 동시에 현재의 일관성 없는 보존방식과 현재의 보존재질에 대해 문 제점을 제기하였다.
영문요약 Currently National Archives holds important records in Seongnam Natinal Archives of Korea, Daejeon Archives and Busan History Archives. It is not maintained in a unified way to keep the records and it was not considered to follow the conservation method and archiving system in terms of the type of records and damages. Therefore, this study will search the status of conservation of important records in National archives and historical archives to figure out and the problem of conservation method and to improve it. The main issue of this survey was that inconsistent forms of conservation folder and box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records. In other words, there was not any consistent rule for the storage box to be erected or laid. Also, there was no specific reason to produce those storage box in an integrated or split type. The permanence of the paper used for folders, envelopes, and the box was not verified. And it was not possible to read the records because they were bound in a bulk by current archiving system, which tied all of the records in a small folder with a metal clip. Thus the part of the documentary was getting excessive pressure. Based on the research and investigation of the traditional method of domestic and overseas cases, the folder and preservation box with using Korean Paper (Hanji) was developed in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n the traditional box, "Neung-hwa-moon", Korean traditional pattern was used and the beeswax was used for preventing the Hanji's surface fiber swelling. In addition, it was intent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with distinguishing the type of the records with color-coded based on the contents type. For the archiving system method, it divided and preserve the records in a small quantity in a folder. There are 2 kinds of folder type developed and applied; V shape and 十shape. Hanji made of mulburry was used for the internal folder and this will increase the preservability of the records made of western paper. In this study, it suggested the new structure design and archiving system method for preservation box as an initial purpose and also introduced the problem about current inconsistent preservation metho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이전글 탈산 처리 기록물의 상태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다음글 디지털시청각물 보존포맷 설계 및 변환기술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