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모바일 전용 메뉴 호출

R&D연구보고서

조선시대 기록물 유형별 전통한지 제작기술 규격화 및 최적 복원용 한지 개발(재현제작 및 표면가공을 중심으로)
연구책임자 박지선 연구참여자 20명
연구기간 2014- 07- 07 ~ 2014- 12- 12 분야 종이기록
발간등록번호 11-1312125-000044-01
첨부파일
국문요약 일제강점기 이후 우리나라의 전통한지는 산업화, 현대화의 흐름 속에서 전통기술이 단절 되어 현재에는 그 기술을 재현하고 계승해나갈 장인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조선시대 고문서 에 사용된 한지를 살펴보면 현재 생산되는 한지와는 품질이 전혀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이에 조선시대 왕실을 중심으로 사용되었던 현존 고문서의 과학적 조사와 고문헌 관련 기록을 연구하여 조선시대 기록물의 제작기술을 규명하고 방법을 규격화하여 시제품을 제작 하고, 한편으로는 문화재복원에 적합한 복원용지를 개발하는 것이 사업내용이다. - 연구는 유물과 문헌기록을 토대로 재현할 한지를 선정하여, 유물의 과학적 조사를 실시하 였다. 특이 사항으로는 한지 표면의 평활도에 관한 조사로 3D 현미경을 활용하여 표면의 거 칠음을 수치로 기록하여 밀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유물의 조사는 비파괴분석으로 진 행하여 주로 현미경 촬영 등의 광학적 조사가 중심이 되었다. 조선왕조실록은 시대별 종이 제 작기술 변천을 살펴보았고 서계, 의궤지, 서간지, 발기를 조사하고 재현하였다. 대상 유물들을 재현하면서 왕실에서 사용한 한지의 비법은 높은 밀도와 표면가공법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 고 이를 복원한지에 재현, 적용하였다. 제작된 시제품은 파괴분석과 비파괴분석을 동시에 진 행하여 대상유물과 비교하였고 이상적인 시제품이 제작되었을 때 제작기술을 규격화하였다. 또한 유물의 보존을 향상시키기 위한 복원용지 2종도 같은 방법으로 개발하였다. -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선왕조실록은 그 양이 방대하였으므로 조사는 1왕조1책3장을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결 과 각책의 종이는 두께가 일정하지 않고 초지에도 다양한 발을 사용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특별히 두꺼운 헌종실록을 제외하고는 두께, 색상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2. 조사 및 재현 대상 고문서 중 가장 상품은 서계였다. 문헌에서 지칭하는 상품도련지로 499g/㎡의 평량과 0.91g/㎤의 밀도를 나타내며 표면조도는 0.409μm로 매우 평활하였다. 이 를 재현하는데 성공하였으며 나머지 의궤지, 서간지, 색지, 그리고 백토지, 속틀용 닥지의 개 발도 성공하였다. 3. 전통기술의 규명 중 표면 가공에 관해서는 문헌기록을 참고하여 재현하여 보았다. 물, 황 촉규, 쌀가루를 문헌내용대로 재현하여 실시한 결과 황촉규 즙이 가장 유물과 흠사하며 필사 하기에도 적합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방법을 적용하여 서간지를 복원한 결과 유물의 서 간지와 표면 느낌이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4. 복원용지인 백토지는 충진제로서 talc 2종, 탄산칼슘을 실험한 결과, talc SP3000과 탄산 칼슘이 가장 적합하였으며 경제적 측면에서도 실용화하여 생산한다면 국내 및 국외의 수요 가 긍정적으로 예상된다. 5. 뜻밖의 소득으로 18세기 중엽, 중국으로 건너간 고려지의 실물조사연구가 가능하였다. 고려지는 북경 자금성 내 만권당의 벽지화로 사용되었고 미사용의 고려지도 현재 수장하고 있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파괴분석이 가능하도록 샘플을 취득하였다.
영문요약 After Japanese colonial era, Korean traditional Hanji technique was discontinued by the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As a result, there remains very a few master craftsman to reproduce and succeed the technique. It is found that the Hanji used for Joseon Dynasty's antique documents is remarkably different from current one. On this reason, with using scientific examination about the existing antique documents mainly used for royal families of Joseon Dynasty and studies related to antique documents, it will clarify Joseon Dynasty document production technique, standardize the methods and produce test products and meanwhile, develop appropriate restoration paper for restoring cultural assets. - In the research, Hanji was selected according to artifact and bibliography and the artifact was examined scientifically. Especially, 3D microscope was used for smoothness examination of Hanji surface and the correlation was analyzed by density from the numbers about surface roughness records. The artifact examination was proceeded by nondestructive analysis and optical investigation was proceeded mainly such as microscope scanning. The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 was reviewed for the changes of paper production technique of each era and Seogye, Uigweji, Seoganji, and Balgi were examined and reproduced. During reproducing target artifacts, the main technique of Hanji used for the royal families of Joseon Dynasty was that high density and surface process. And these were reproduced and applied for restored Hanji. The test product was proceeded by destructive analysis and nondestructive analysis simultaneously and compared with target artifact. When the ideal test product made, this production technique was standardized. Also 2 kinds of restoration papers were developed to improve preservation of artifacts in the same way. - The results will be as below. 1. The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 has really huge quantities so the research has to be implemented based on 3 chapters per 1 book per 1 dynasty. As a result, the papers of each book had uneven thickness and used various Bal for Choji. Especially, there was not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ickness and colors except for the Annals of Heon-jong, which was remarkably thick. 2. The best product was Seogye from target antique documents for examination and reproduction. It was called as product calendered paper in bibliography with 499g/m2 of basis weight and 0.91g/㎤of density and it was very smooth with 0.409μm of surface illuminance. It succeeded not only reproduction of this and the rest of Uigweji, Seoganji, Saekji and Baektoji but also development mulberry paper for inner frame. 3. During clarifying traditional technique, it was reproduced for surface process based on bibliography. Water, Root of hibiscus plant and rice powder were reproduced as bibliography and root of hibiscus plant juice was the most similar to the artifacts and appropriate for transcription. With this method, it's confirmed that Seoganji was restored and its surface feeling was same as the artifact's Seoganji. 4. Baektoji, the restoration paper, was the filler and examined by 2 kinds of talc 2 and calcium carbonate. And talc SP3000 and calcium carbonate were the most optimized and expected for the domestic and overseas needs in positive way if it would be commercialized and produced. 5. As the unexpected result, it was able to examine Korea ji in real, which was delivered to China in the middle of 18th century. Korea ji was used for wallpaper painting of Mangwondang in Forbidden City, Beijing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unused Korea ji was stored and the sample was attained for destructive analysis.
이전글 첨단기술을 활용한 기록물 전시 쇼케이스 적용기술 연구
다음글 데이터세트 구조분석 및 진본성 보장 기록관리 기능모델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