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모바일 전용 메뉴 호출

R&D연구보고서

손상파일 검사⦁복구 프로토타입 적용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최인혁 연구참여자 6명
연구기간 2019- 04- 19 ~ 2019- 10- 31 분야 전자기록
발간등록번호 11-1741050-000036-01
첨부파일
국문요약 이전 연구결과물인 손상파일 검사·복구 프로토타입을 고도화하여 새로운 손상코드 7개 가 추가 반영되었다. 이는 파일 포맷을 더 정확하게 손상 검사를 수행함을 의미한다. 또 한 복구코드도 새롭게 1개가 더 추가되었으며 이전 문서필터의 성능을 강화함으로써 더 욱더 다양한 손상파일에서 텍스트 추출이 가능해졌다. 이로 인해 복구율 또한 향상되었 다. 이렇게 개발한 프로토타입을 기록관리프로세스에 적용하기 위해 5개의 공공기관을 방문 하여 RMS 운영 현황을 확인하였으며 RMS와 CAMS에 연동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 다. 기존에는 육안 검수에서만 발견할 수 있었던 정상 관인 여부를 AI 기술을 활용하여 자 동 검수를 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를 정확한 관인 여부를 확인하기위해 다 양한 방법을 함께 제시하였다.
영문요약 In the previous study, the damage digital archives detection and recovery prototype was upgraded to reflect 7 new damage codes. This means that the file format is more accurately detected for damage digital archives. In addition, a new recovery code has been add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document filter has been enhanced to recover text from more and more damaged digital archives. In order to apply the developed prototype to the records management process, we visited 5 public institutions to check the current status of RMS operation. We will present a plan for linking RMS and CAMS in the final report. As AI technology has advanced, the image processing has been used to automatically detect whether the number of signature. It can be solved a problem that can only be found by people.
이전글 4차 산업혁명시대의 전자기록관리와 기록정보활용 교육 강화 방안 연구
다음글 데이터세트 유형 전자기록의 장기보존기술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