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모바일 전용 메뉴 호출

R&D연구보고서

빅데이터 분석기술을 활용한 자치단체 기록관리기준표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류한조 연구참여자
연구기간 2021- 04- 26 ~ 2021- 11- 30 분야 활용
발간등록번호 11-1741050-000075-01
첨부파일
국문요약 빅데이터 분석기술은 지방자치단체 기록관리기준표의 분석과 개선을 지원할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 중 텍스트기반 분석 도구인 코퍼스와 토큰화 기술을 적용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기록관리기준표를 구성하고 있는 명칭 및 구성용어에 적용하였다. 이렇게 개발한 시스템은 기록관리기준표의 처리과공통, 기관공통, 국가위임사무 등의 유형을 식별하는데 지원도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유사한 단위과제를 표준과의 맵핑방식으로 그룹화하고 보존기간 등을 통일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공공기록물관리법 시행령 및 기존 공통과제 표준 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보존기간을 단위과제의 생성 및 수정 시 지나치게 많은 수량 때문에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없었으나, 빅데이터 분석기술을 통해 대용량 처리가 가능하여 보존기간 관리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빅데이터 분석기술은 중복단위과제 생성여부, 단위과제의 타당한 소기능 선택 등을 지원할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어, 기록관리업무에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향후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이 BRM 및 RMS 등과 연계할 수 있다면 기록관리기준표 업무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영문요약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big data analysis technology can support analysis and improvement of local government records management reference tables. The study developed a system that applied corpus and tokenization technology, a text-based analysis tool among big data analysis, and applied it to the names and constituent terms constituting the records management reference tables. The system developed in this way can serve as a support tool for identifying the types of the treatment department common, institutional common, nationally delegated affairs of the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It was also confirmed that similar unit tasks(transactions) could be grouped into mapping methods with standards and the retention period could be unified. The retention period prescribed by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and the existing Common Task Standards could not be effectively controlled due to excessive quantities in the creation and modification of unit tasks. However, through big data analysis technology, we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increasing the quality of preservation period management by enabling large capacity processing. In addition, big data analysis technology can be a tool that can support the creation of overlapping unit tasks and the selection of reasonable small functions of unit tasks, so it is expected to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records management work. Therefore, if the big data analysis methodology can be linked to BRM and RMS in the future, it is possible that the quality of the work in the records management reference tables can be improved.
이전글 기록물 OCR 데이터셋 구축 및 한글 필기체 인식 성능 개선 연구
다음글 전자기록물 공개재분류를 위한 비공개정보 필터링 및 마스킹 기술 적용 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