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모바일 전용 메뉴 호출

R&D연구보고서

2021년 국가기록관리·활용기술 연구개발(R&D) 사업 자체연구 결과보고서(총 2건)
연구책임자 이젬마 외 연구참여자 총 8명
연구기간 2021- 05- 03 ~ 2021- 12- 17 분야 전자
발간등록번호 11-1741050-000084-01
첨부파일
국문요약 <기록관리 분야 AI 기술적용을 위한 데이터 품질관리 방안 연구> 1. 연구목표 ● 기록관리 분야 중점의 선행연구 분석과 데이터 품질관리 중점의 연구 및 지침 분석 수행 ● 인공지능 적용을 위한 기반인 데이터 품질 현황 분석 ● 기록관리 업무 지능화를 위한 데이터 품질 개선방안 제안 2. 연구내용 ● 국내 · 외 기록관리기관의 인공지능 도입 현황과 데이터 품질관리 방안 조사를 통한 인공지능 도입 당위성과 데이터 관리 필요성 도출 ● 국외 데이터 관련 동향 분석과 데이터 관리 지침, 표준을 통한 데이터 품질관리 방안 조사 ● 국가기록원 소장 기록물의 메타데이터 분석을 통한 오류율 및 오류 유형 산출 ● 기록관리전문가, 시스템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데이터 현황에 대한 개선방안 인터뷰 실시와 개선방안 조사 및 데이터 관리 관련 이슈 제시 ● 데이터 관리 표준 및 전문가 인터뷰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품질관리 및 향상 방 안 제안 3. 연구결과 ● CAMS 내 기록물 철, 건의 메타데이터 현황 파악을 통한 데이터 품질관리 필요성 강조 ● 국가기록원 내 데이터 품질관리를 위한 개선방안 제안 ● 기록관리 분야의 데이터 관리 필요성 및 중요성 제시 ● 데이터 품질 개선방안 제안을 통하여 데이터 품질에 기초한 AI 적용기반 확보 ● 데이터 품질관리를 통해 궁극적으로 기록정보서비스 품질 향상을 도모하는 데 기여함 <2. 종이기록물 주기적 상태검사 개선 연구> 종이기록물 상태검사는 공공기록물법에 준하여 최초 상태검사뿐 아니라 그 등급에 따라 주기적 상태검사, 즉 재검사를 실시해야 하지만 최초 상태검사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상황에서 주기적 상태검사 시행으로 종이기록물 상태검사 업무는 더욱 가중되고 있다. 또한 종이기록물 상태검사 항목 중 재질변색과 건조화 등급은 주관적 판단이 필요한 부분으로 오판단 확률이 높은 단점이 있고 이는 상태검사 신뢰도와 활용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검토가 필요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주기적 상태검사 대상 간소화 방안을 동종대량 유형의 기록물을 중심으로 조사·연구하고, 주기적 상태검사 항목과 활용도를 통계적, 실험적으로 진단하여 그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국내외 대량 종이기록물을 소장하고 있는 유관기관의 상태검사 현황에 대해 설문조사함으로써 효율적인 상태검사 방식을 조사하였는데 많은 해외기관에서 전량 검사가 아닌 자체 선별 기준에 의한 검사 대상 선정과 표본검사 방식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가기록원 소장 종이기록물 목록을 분류하였을 때 법무부, 국세청, 특허청 등 대표적인 동종대량 기록물과 간행물·도서류, 카드류의 형태적 동종 유형이 40% 이상을 차지하여 매우 높은 비율로 분석되었다. 동종대량 유형에 대한 실물조사와 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유형별로 유사도에 차이가 있지만 상태검사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현 기록물 운영 시스템에서 동종대량 유형에 대한 상태검사 표본검사 방식을 제안하였다. 주기적 상태검사 항목인 훼손유형 등급에 대한 기존 검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을 때 재질변색과 건조화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실제 변색정도가 다른 종이에 대한 강도 실험을 하였을 때 변색이 높아지면 강도가 약화되는 경향을 확인하여 통합관리 근거를 마련하였다. 재질변색 등급의 오판단 감소를 위하여 검사자의 기존 등급 판단 결과를 정량화하여 객관적 기준과 함께 등급 평가 시 비교할 수 있는 샘플을 마련하여 현장에 제공함으로써 품질 개선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보존복원처리 대상 선정 시 상태검사 결과를 어느 정도 활용하는지 진단한 결과 검사결과 활용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나 보존·복원처리 대상 선정 시 활용 가능한 상태검사 세부 결과 검색 조건을 제시하였다. 표본검사방식의 활용, 훼손유형 항목의 통합 및 객관적 기준을 제시하여 검사대상량 감소 효과와 품질 개선을 기여할 수 있으며 보존복원처리 대상 선정 과정에 상태검사 항목의 세부 결과를 활용함으로써 적기에 기록물을 처리하여 보존성을 향상하려는 상태검사의 근본 취지에 좀 더 부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요약
이전글 전자기록물 공개재분류를 위한 비공개정보 필터링 및 마스킹 기술 적용 방안 연구
다음글 민간 아카이브 간 상호운용성 제고를 위한 협력형 아카이빙시스템 구축전략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