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모바일 전용 메뉴 호출

R&D연구보고서

미소독기록물 유해충∙균 모니터링 및 기준 검증 연구(3차)
연구책임자 김성환 연구참여자
연구기간 2020- 04- 02 ~ 2020- 11- 30 분야 보존환경
발간등록번호
첨부파일
국문요약 2019년 10월에서부터 2020년 9월 기간중 미소독기록물 보존 서고 5개 실과 복도, 2개 작업장에 대해 온도, 습도, 공기 중 미생물 농도, 미세먼지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온도 및 습도는 국가 기록원 종이 기록물 보존환경 기준 온도인 18 ~ 22℃와 기준 습도인 40 ~ 55% 의 기준치를 잘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고 앞 복도의 경우도 대체로 서고와 유사한 범위에서 변동하였다. 5개 서고의 부유세균 농도는 환경부 기준치 800 CFU/m3 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로 존재하였다. 월별로 부유세균의 농도는 서고 간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부유진균 농도 또한 한곳 서고의 7월 달 측정치를 제외하고는 5개 모두에서 환경부 기춘치 500 CFU/m3 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측정되었다. 그러나 ‘20년 5월부터 9월까지 조사된 1층과 4층 작업장의 부유진균 농도는 최소 54 CFU/m3부터 최대 886.6 CFU/m3까지 나타나 실내공기질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고의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도 모두 매우 청정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서고 공기 중에서 세균은 총 58속 170종, 진균은 총 46속 95종이 동정되었다. 동정된 균에는 인체유해균과 셀룰로즈 분해균이 존재하였다. 스왑(swab)법을 이용한 정밀검사 결과 육안검사 단계에서 오염이 확인된 기록물에서 총 15속 24종의 세균과 3속 5종의 진균이 동정되었다. 오염이 미확인 기록물에는 진균은 6속 10종 세균은 7속 7종이 동정되었다. 동정된 균에는 셀룰로즈 분해균이 존재하였다. 2년간 기록원 5개 서고 환경에서 총 184종의 세균과 11종의 진균을 분리 동정하였다. 이들 균의 기록물 유해 정도를 변색능력과 분해능력에 기준하여 1등급에서 4등급으로 분류하여제시하였다. 유해등급 1등급으로 분류된 세균은 8종, 진균은 16종이고 2등급으로 분류된 세균은26종, 진균은 36종 이었다. 최근 3년간의 IPM 실시 결과에서 기록물에 직접적으로 피해를 줄수 있는 해충(1등급)은 포집 되지 않았다. 그러나 간접적 또는 제한적으로 피해를 줄 수 있는해충들은 107마리가 포집 되어 지속적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공시균(Aspergillus brasiliensis와 Micrococcus luteus)을 이용하여 기록물 소독 선별처리 기준으로서 ATP기준 적합성을백상지, 갱지, 트레싱지, 습자지, 중질지, 신문용지에 대해 검증한 결과 모두 2개 회사 제품의 ATP측정기 간에 차이가 있었고, 생균수를 이용하여 비교할 때 105 과 106 cells 사이 수준에서 1,000 RLU 값이 존재하였다. ATP 측정 RLU 값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2개 회사 제품 모두 상관지수 (R2) 값은 대체로 보통에서 높은 수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트레싱지, 백상지, 중질지, 갱지, 신문지, 습자지 순서로 검출 민감도를 보였다. ATP 장비의 특성과 한계, 종이 재질 별 검출 감도, 조사된 기록물의 오염수준을 고려할 때 현행 소독 선별처리 기준 1,000 RLU는 기초검사로 활용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여진다. 샘플북을 제작하여 공시 세균과 진균을 50, 100, 150 페이지 속에 각각 접종 후 2곳 소독업체에서 산화 에틸렌 가스 소독을 실시한 결과 두 회사에서 모두 소독 직후뿐만 아니라 소독 후 7일 이상 100% 사멸율을 보였다. 소독후 샘플북에는 화학적 물리적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기록물 표면의 유해균 제어에 샘플북을 이용하여 화학적 소독방식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과학적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에 제정된 ‘기록물 소독 선별처리 기준’을 수정 제시하였다.
영문요약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2019 to September 2020, temperature, humidity, microbial concentration in the air, and fine dust were monitored for 5 rooms, corridors, and 2 workplaces for preserving non-sanitaized paper-based record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found to maintain within the the National Archives’ standard values ​of 18 ~ 22 °C and 40 ~ 55%. The case of the corridor in front of the preserving rooms was also changed within a range similar to that of the preserving rooms. The concentration of airborne bacteria in the five preserving rooms was somewhat different but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800 CFU/m3 standard value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concentration of airborne fungi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Ministry of Environment’s 500 CFU/m3 standard value in all five except for the July measurement in one preserving room. However, the airborne fungal concentration in the workplaces on the 1st and 4th floors surveyed from May to September 20th ranged from a minimum of 54 CFU/m3 to a maximum of 886.6 CFU/m3 , indicating that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is necessary. Both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in the preserving rooms were also measured to be very clean. In the air of the preserving rooms, a total of 58 genera and 170 species of bacteria and a total of 46 genera and 95 species of fungi were identified. In these identified microbes, human harmful and cellulose-degrading species were present. As a result of a close examination using the swab method, a total of 15 genera, 24 bacteria and 3 genera, 5 fungi were identified in the records that were classified as contaminated in the visual inspection stage. While, 6 genera and 10 species of fungi were identified from the records that were not classified as contaminated. Cellulose-degrading species were also present in these microbe. For two years, a total of 184 bacteria and 11 fungi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in the environment of the monitored archives. The degree of harmfulness of the records of these bacteria was classified and presented from grade 1 to grade 4 based on their discoloration and decomposition ability. There were 8 bacteria and 16 fungi classified as hazardous grade 1, 26 bacteria and 36 fungi classified as 2 grade. In the results of IPM implementation for the last 3 years, no pests (grade 1) that could directly damage the records were collected. However, 107 pests that can cause indirect or limited damage are collected and continuous monitoring is required. The ATP standard of 1000 RLU as a standard for disinfection and screening of records were suggested to be suitable based on the detection test with 6 kinds of papers using Aspergillus brasiliensis and Micrococcus luteus. Disinfection test with 200 pages paper sample books that mimic field records, showed that ethylene oxide gas disinfection is effective to kill bacteria and fungi. After disinfection, no chemical and physical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sample books. Accordingly, it was considered that a chemical disinfection method could be used by using a sample book to control harmful bacteria on the surface of records. Based on the scientific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the previously established “Criteria for Selective Disinfection of Records” were revised and suggested
이전글 블록체인 트랜잭션과 스마트 컨트랙트 활용 기록관리 적용방안 연구
다음글 문서 유형 보존포맷 및 장기보존패키지 다양화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