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모바일 전용 메뉴 호출

R&D연구보고서

민간 아카이브 간 상호운용성 제고를 위한 협력형 아카이빙시스템 구축전략 연구
연구책임자 김화경 연구참여자 김화경 외 9명
연구기간 2022- 04- 06 ~ 2022- 10- 31 분야 활용
발간등록번호 11-1741050-000085-01
첨부파일
국문요약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민간영역의 기록 활동 주체들의 현황을 파악하고, 민간 기록관리를 위한 정보를 공유하며,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제반 요소들을 조사‧분석 - 이를 기반으로 민간영역에서의 기록관리 활동을 지원‧활성화할 수 있도록 민간 기록정보 네트워크 플랫폼 구축을 위한 전략 수립 ○ 연구개발 내용 - 연구대상 및 개념 정의 ∙ 민간영역 기록관리와 관련된 기존의 정의와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본 연구의 대상을 정의하여 용어 및 개념 정리 ∙ 민간기록 및 민간 아카이브의 범주와 특징을 정리하고, 주제‧분야별 민간 아카이브를 분석하여 민간 아카이브 유형 분류(안)을 제안 - 시사점 및 벤치마킹 요소 도출 ∙ 민간영역의 기록관리 현황을 파악하여 기록 활동을 지원‧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민간 아카이브 운영사례를 조사‧분석하여 개선사항 및 시사점을 도출 ∙ 국내외 네트워크 구축 관련 선진사례를 조사‧분석하여 민간 기록정보 네트워크 플랫폼 구축에 참조할 수 있는 벤치마킹 요소를 도출 ∙ 민간 아카이브시스템‧데이터 공유 등 주요 사례와 법제도를 조사‧분석하여 민간 주도의 네트워크 활성화 및 민간 아카이브 발전방향을 검토 - 민간 기록정보 네트워크 플랫폼 구축전략 수립 ∙ 이용자 요구사항 분석을 통해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수요 및 기능적 요구사항 확인하고 민간 기록정보 네트워크 플랫폼의 구축 방향성을 도출 ∙ 민간 기록정보 네트워크 플랫폼의 비전 및 목표모델을 수립하고, 수립된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단계별 구축전략을 연구 ∙ 목표모델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한 기능구성 및 데이터 구성도를 설계 ∙ 민간 기록정보 네트워크 플랫폼의 이해관계자 유형 및 역학관계를 정립 - 민간 기록정보 네트워크 플랫폼 운영 및 활성화 방안 수립 ∙ 플랫폼의 단계적 발전에 따른 운영관리 주체 및 체계 연구 ∙ 플랫폼 이용자의 지속적인 유입과 적극적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 연구
영문요약 ○ Research Goal - This study identifies the status of various activities in the private sector, shares information for records management among private sectors, and identifies what is needed to establish a network - The goal is to establish a strategy for establishing a private record information network platform so that records management activities in the private sector can be supported and activated ○ Research Scope and Methods - Define research targets and concepts ∙ Review existing definitions and prior studies related to records management in the private sector and define the terms and concepts used in this study ∙ Organize the categories and characteristics of private records and private archives, analyze private archives by subject‧field, and purpose classification of private archives types - Derive implications and benchmarking elements ∙ Understand the status of records management in private organizations, study ways to support records management activities in private areas, and investigate and analyze cases by form according to private archives operation to derive improvements and implications ∙ Research and analysis of advanced cases related to network construction at home and abroad to derive benchmarking elements that can be referred to in establishing a private record information network platform ∙ Investigate and analyze major cased, laws, and systems, such as private archives systems and data sharing, to review the direction of revitalizing private-led network and developing private archives
이전글 2021년 국가기록관리·활용기술 연구개발(R&D) 사업 자체연구 결과보고서(총 2건)
다음글 국가기록원 소장기록물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모형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