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천군 면내 동리의 구역 및 명칭 변경에 관한 건(白川郡面內洞里ノ區域竝名稱變更ニ關スル件)-황해도>(1914년 1월 5일), <동리 경계 정리에 관한 건(洞里境界整理ニ關スル件)>, <경상남도 단성군 동면리 명칭 조사표>(단성군수 및 군서기 작성), <면내 동리의 명칭 구역 변경에관한 건>,<면 명칭 및 구역변경의 건 - 황해도>, <동리의 정리에 관한 건-강원도> <평남북 지역 토지관할 구역의 건 > 등이 첨부되어 있다.
행정구획 관계서류
관할 구역변경과 관련하여 내부무장관이 경기, 충북, 충남, 황해, 평북 도장관 앞으로 보내기 위해 만든 통첩안이다. 이 문건에는 ‘도부군 관할구역변경 후의 소속면조’가 첨부되어 있다.
1913년 12월 31일자 내무부 조회에 따라 황해도장관이 내무부장관 앞으로 보낸 회답 문건이다. 이 문건에는 황해도가 앞서 고시한 동리구역 및 명칭 보고 가운데 오류가 있었던 부분을 수정 정리한 ‘정오(正誤)’, 내무부장관이...
1913년 12월 31일자 내무부 조회에 따라 황해도장관이 내무부장관 앞으로 보낸 회답 문건이다. 이 문건에는 황해도가 앞서 고시한 동리구역 및 명칭 보고 가운데 오류가 있었던 부분을 수정 정리한 ‘정오(正誤)’, 내무부장관이 황해도장관 앞으로 보낸 이 사안과 관련된 조회안 등이 첨부되어 있다
내무부장관이 전라남도장관 앞으로 보낸 조회안 기안문이다
내무부장관이 경상북도장관 앞으로 보낸 조회안‘( 동리 구역 및 명칭 변경의 건’)에 대해 경상북도장관이 내무부국장 앞으로 보낸 상주군 내 각 면의 동리 구역 및 명칭변경과 관련한 회답문이다.
평북도장관이 조선총독 앞으로 보낸 의주부 주내면 내 동의 명칭 및 구역변경 관련 보고이다.
아산만 내에 소재한 2개의 기주(모래톱)에 대한 관할을 둘러싼 경기도와 충청남도 사이의 분쟁과 관련한 문건들인데(모두 충남 소관으로 결정됨), 이 문건은 내무부장관과 각도 장관 사이에 오간 조회, 조회에 대한 회답, 혹은 도장관의...
아산만 내에 소재한 2개의 기주(모래톱)에 대한 관할을 둘러싼 경기도와 충청남도 사이의 분쟁과 관련한 문건들인데(모두 충남 소관으로 결정됨), 이 문건은 내무부장관과 각도 장관 사이에 오간 조회, 조회에 대한 회답, 혹은 도장관의 보고, 지도 등 참고문서들로 구성된 문건들이다. 임시토지조사국장이 내무부장관 앞으로 보낸 ‘부군면동리 강계 정리에 관한 건’(토조 제485호, 1914년 3월 4일), 임시토지조사국장이 각 감사원(監査員), 측지각반장 앞으로 보낸 ‘부군면동리의 구역에 관한 건’이 첨부되어 있다.
아산만 내에 소재한 2개의 기주(모래톱)에 대한 관할을 둘러싼 경기도와 충청남도 사이의 분쟁과 관련한 문건들인데(모두 충남 소관으로 결정됨), 이 문건은 내무부장관과 각도 장관 사이에 오간 조회, 조회에 대한 회답, 혹은 도장관의 보고, 지도 등 참고문서들로 구성된 문건들이다.
평안남도와 평안북도의 도(道) 경계 분쟁과 관련하여 내무부장관이 평양복심법원 판사 앞으로 보낸 회신의 기안문이다.
1914년 1월 31일 경상남도 단성군의 면동리 명칭 및 경계 변경과 관련하여 내무부장관이 토지조사국장에게 보낸 문서의 기안문이다. 이 문건에는 1914년 1월 26일 임시토지조사국장이 내무부장관 앞으로 보낸 문서‘( 부군면 폐합...
1914년 1월 31일 경상남도 단성군의 면동리 명칭 및 경계 변경과 관련하여 내무부장관이 토지조사국장에게 보낸 문서의 기안문이다. 이 문건에는 1914년 1월 26일 임시토지조사국장이 내무부장관 앞으로 보낸 문서‘( 부군면 폐합 후 강계(疆界) 정리에 관한 건’) 토조(土調) 제225호가 첨부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각도 내무부장 회의에서 총독이 지적한 것처럼 부군면 폐합과 관련하여 각도에서 올린 보고 가운데 착오가 많아 행정상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으나 각별히 유의해 달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