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통상

무역박람회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배경

무역전시산업은 무역거래 및 정보비용을 최소화하고, 신상품소개 및 최신정보 습득 등에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는 차원에서 중요 무역거래 인프라 중의 하나이다. 호텔, 음식료품, 여행, 관광, 항공운송, 인쇄업 등 관련 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지대하다는 점에서 21세기의 고부가가치사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무역전시회는 WTO등 국제규범에서도 무역촉진활동으로 분류되어 지원이 가능한 분야이다. 독일, 일본, 싱가폴, 홍콩 등 은 자국의 무역전시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각종 지원시책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는 전국에 걸쳐 9곳에 174,021㎡의 무역전시장이 있으나 선진국은 물론 경쟁국에 비해서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다. 국제규모의 전시회를 개최할 수 있는 KINTEX와COEX의 전시면적도 각각 53,541㎡와 36,027㎡에 불과하여 독일 하노버 전시장(490,000㎡), 일본 동경 빅사이트 전시장(80,660㎡), 홍콩 아시아 월드 엑스포(66,420㎡) 등에 비해서 크게 협소한 상황이다.



<표 1> 국내 무역전시장 현황(2005.12월)

구 분COEX

(서울)
SETEC

(서울)
KOTRE
X
(대전)
EXCO

(대구)
BEXCO

(부산)
aT Center
(서울)
KINTEX

(고양)
KDJ Center
(광주)
CECO

(창원)
개장
년도
1988.9 1999.51995.52001.42001.92002.
11
2005.42005.92005.9-
전시
면적
36,027㎡ 7,948㎡ 4,200㎡ 11,616㎡ 33,183㎡ 8,047㎡ 53,541㎡ 10,800㎡ 9,259㎡ 174.021㎡

자료: 산업자원부(2005)



우리나라 무역전시산업은 무역규모에 비해서도 협소하다.


<표 2> 주요국의 무역전시장 보유현황

구 분 미국 독일 일본 중국 홍콩 대만 한국
전시면적(천㎡) 5,908 2,652 884 2,475 130 82 174
면적/무역액1억불(㎡) 252.2 162.6 76.5 214.3 24.4 23.9 36.3
자료: 한국전시산업진흥회, 산업자원부(2005)



매년 350여 회 정도의 전시회가 국내에서 개최되고 있으나, 국제적인 인지도가 높고 외국업체 및 바이어가 많이 찾는 전시회는 많지 않다. 국내 최대 무역전시회로 꼽히고 있는 한국기계전, 한국전자전, 섬유·의류교역전 등도 2,576개의 업체와 10만2천여명의 바이어가 찾고 있는 미국 CES 등 외국의 유명전시회와 비해서는 매우 미미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내용

1. 초창기(1961~1978)의 무역전시: 수출정책으로 부정기 전시회 활성화
1945년 해방이전 우리나라의 전시회라고 할 수 있는 형태는 세 가지 정도를 들 수 있다. 첫째는 전통적으로 농경문화의 바탕위에서 생성, 유지되어 온 시골의 ‘장날’제도이며, 둘째는 일본의 문물을 조선 사람들에게 선전하기 위한 조선박람회, 마지막으로 민족운동세력에 의해 국산품 애용을 장려하기 위한 산업전 수준의 전람회개최 정도가 그것이다.1945년 해방 이후의 우리나라 무역전시산업은 1960년대 정부의 수출주도형 경제정책이 전개되면서 시작되었다.


1960년대초 정부의 수출제일주의 정책에 의한 수출드라이브가 본격적으로 전개되면서 국내중소기업의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품목별 전시회 및 지방순회 전시회 등 소규모의 전시회가 몇 차례 부정기적으로 개최되었다. 한편, 해외로의 적극 진출을 위해 1963년도 Chicago 국제무역박람회를 비롯 1964~1965년의 New York 세계박람회(New York World's Fair)와 수차에 걸친 만국박람회(EXPO)의 참가로 외국의 전시산업 현장에서 노하우 습득과 요원들의 OJT(On -the-Job Training) 실시에 전력을 다하였다. 이처럼 국내보다는 전시산업이 성장해 있는 해외에서 쌓은 경험과 기술을 토대, 1968년 가을 서울 구로동 수출공단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제1회 한국무역전시회(Korea Trade Fair)가 개최되기에 이르렀다.


이어서 1969년에는 서울 덕수궁에서 한국전자제품전시회(현재의 한국전자전람회/Korea Electronics Show의 전신)가 전문상품 전시회로는 한국에서 최초로 개최되었다. 그 후 1976년 서울 여의도에서 한국기계공업진흥회(KOSAMI) 전시장(1990년 1월 폐장) 설립에 즈음하여 한국기계전시회(Korea Machinery Fair)가 개최되면서 한국 전시사업은 점차 발전하게 된다. 그러나 당시의 가장 큰 문제는 상품전시회는 전시현장에서 우리 상품을 국내외에 직접 홍보하고 외국의 선진기술 및 신제품에 대한 정보를 쉽게 입수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구매선을 직접 발굴하여 상거래를 촉진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에 이러한 상품전시회를 전문적으로 개최할 수 있는 시설이 갖추어져 있지 못했다는 사실이다. 이 후 정부에서도 전문 전시장 건립의 필요성을 인정고 1976년에 한국무역협회 산하에 '종합전시장 건립추진위원회'가 설립되었다. 1979년 7월 3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마침내 우리나라 최초의 전문 전시 시설인 한국종합전시장(현재의 KOEX 별관)이 개관되었다.


2. 성장기 (1979~1988)의 무역전시 산업
1979년 7월 현 KOEX인 한국종합전시장(현재의 KOEX 별관)이 개관되면서 한국의 전시산업은 획기적인 전환기를 맞이하게 된다. 이때부터는 사무자동화기기전시회, 반도체산업전시회 등의 전문상품 전시회들이 태동하기 시작하였으며, 전시주최 전문산업(Show Organizer)들도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당시로서는 막대한 자금(토지구입비 제외한 건설비만 74억원 소요추정)을 투자해서 건립된 계획이었지만 협소한 국내시장, 충분한 노하우를 지닌 전시주최자의 부족, 전시장 운영경험 부족 등으로 인해 당초 의도했던 만큼의 괄목할 만한 성과는 거두지 못했다고 평가된다. 참고로 당시 한국종합전시장의 운영현황을 연대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5> 한국합전시장의 연도별 운영현황
구분197919801981198219831984198519861987
개최횟수(회) 7 11 15 11 23 26 30 30 34
전문전시장 가동율(%) 25.0 27.0 25.2 29.1 35.1 41.8 42.7 48.8
(출처: KOEX)



하지만 1982년에 현 KOEX에서 서울 국제무역전시회(Seoul International Trade Fair)가 개최되면서 그 동안 국내에서 성장하고 있던 수출업체들이 전시회를 통한 상품정보 교류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특히 해외에서 개최되는 유수한 상품전시회 참가에도 보다 적극적으로 눈을돌리게 하여 결과적으로한국 전시산업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다고 생각된다.




3. 발전기 (1988~)
해방이후 그 동안 완만하게 발전하고 있던 한국의 전시산업은 1986년 5월 30일 전시전문 주식회사인한국종합전시장(Korea Exhibition Center, Inc./KOEX)이 설립된 후 본격적인 발전기를 맞이하게 된다. 1988년 9월 KOEX 본관이 국제적 규모의 전천후 시설을 자랑하며 개관하면서 KOEX (신 KOEX, 본관 및 별관)가 완전히 새롭게 태어나게 되었고, 한국의 전시산업도 비로서 성장궤도에 오르게 되었다. KOEX는 현재까지도 한국에서 명실공히 현대판 무역전시회(Trade Show), 각종모임(Convention) 및 각종 이벤트의 총 본산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때부터 국내외 업체의 참여도가 점차 증대되어 양적으로는 말할 것 없고 질적으로도 크게 성장하게 된다. 1988년에 KOEX가 주최했던 제1회 한국국제컴퓨터그래픽스 전시회 및 세미나(KIC'88), 제1회 서울 국제 화학플랜트 전시회 (SICHEM'88) 등은 우리나라에서 품목별 전문상품 전시회의 발전을 선도하고 전시산업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 바가 매우 크다고 평가된다. 이러한 기반을 바탕으로 1990년대에 접어들어서 한국의 전시산업은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엄밀하게 말해서 1980년대까지만 해도 한국전자전람회(KES), 한국기계전시회(KOMAF) 등 몇몇 상품전시회를 제외하고는 본 궤도에 진입했다고 할 수 있는 전시회가 별로 없었다. 그러나1990년대에 들어와서는 서울 국제조명산업전시회(SILIGHT), 리빙디자인페어(LIVING DESIGN), 한국 국제공장자동화 종합전시회(KOFA), 서울 모터쇼(Seoul Motor Show), 서울 국제화학플랜트전시회(SICHEM), 한국 국제 CAD・CAM・CAE 전시회(CAD/CAM) 등 많은 전시회들이 양과 질 모든 측면에서 국제수준급의 전문상품전시회로 발전, 국내산업 발전에 일익을 담당하였다. 당시의 무역전시산업의 특징은 그 동안 주도적 역할을 해왔던 KOEX 이외의 외부 전시주최 전문업체(세계전람, 동서전람, 경연전람, 한국전람 등) 및 기관(업종별 단체, 정부기관, 언론기관 등)들이 주최하는 전시회의 수가 크게 늘어났다는 점이다. 


이를 KOEX에서 개최된 전시회의 주최자수 및 상품전시회 개최횟수를 기준으로 검토해보면 다음의 표와 같다. 


 
<표6 > 1988년과 1995년 KOEX 무역전시의 비교
구 분 1988년 1995년
전시주최자 수 약 25 약 50
상품전시회 개최횟수 37 115
(출처: KOEX) 
 

또한 전시회 개최횟수 못지않게 중요한 척도가 전시회의 질의 문제인데, 이는 곧 그 나라의 산업 발전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되기도 한다. 1994년도에 KOEX에서 개최된 총 105개의 전시회 중 컴퓨터, 전자, 로봇 등 첨단산업관련 전시회가 절반 이상인 64개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는점을 보더라도 한국의 전시산업은 양과 질에서 공히 성장하였다고 평가된다. 그 결과 국내 전시산업 성장에 있어 한창 유망시장으로 부상하는 한국을 겨냥해 외국의 중앙 및 지방정부, 업종별 생산자 단체들이 직접 한국, 특히 KOEX에서 전시회를 주최하고 있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1988년 KOEX에서 3개에 불과했던 외국 전시회가 점점 그 수가 늘어나 1993년에는 10개로 확대되었다. 이는 산업발전과 전시산업의 발전이 그 맥을 같이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KOEX에서 개최된 대표적인 외국 전시회들로 1991년 한국의 고속철도 기종선정을 놓고 독일의 이체(ICE)와 프랑스 떼제베(TGB)가 각축을 벌이는 와중에서 개최된 독일 하이테크전람회(Techno Germa Seoul)와 1995년 프랑스 첨단기술전시회(French Hightech) 및 스페인 소비재전시회(Expo Spain) 등을 들 수 있다. 당시에는 관련 전시회와 국제회의가 동시에 개최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 국제회의산업과 전시산업이 상승작용을 하면서 관련산업에 지대한 파급효과를 미치며 성장하고 있다. 실례로 지난 1993년에 KOEX에서 동시에 개최되었던 국제정형외과 및 외과학회 제19회 세계대회(SICOT '93 Expo)와 국제 정형외과 의료기기 및 약품전시회(SICOT'93 Expo)에 행사기간 중 5,000여 명의 각국 정형외과 관련 의료진 및 인사들이 한국을 방문하였다. 동 기간중 참가자들이 지출한 경비는 행사참가비, 숙식비, 쇼핑 및 관광비 등 수백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었다.참고로 한국관광공사가 조사한 바에 의하면 국제회의 참가자들의 여행비용이 일반 관광객의 여행비용에 비해 3배이상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 1995년 7~10월동안 국제회의 참가를 위해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1,778명을 대상으로 방한기간 중 소비액을 조사한 결과 한 사람당 평균 3,285달러(약 2,628,000원)를 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994년에 방한한 외국인 관광객의 평균 소비액 1,064달러(약 851,200원)의 무려 3.1배나 되는 것이다. 즉 전시산업 및 국제회의산업의 성장에 따른 엄청난 외화획득과 국내 관련산업에 대한 지대한 파급효과에 대해 깊히 인식해야한다는 것이다. 전시산업의 성장과 아울러 참가자는 물론 관람객도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데, 1990년에 KOEX 연간 총 관람객이 백만명을 돌파하였으며, 지난 1995년 5월에 개최된 서울모터쇼에는 단일 전시회 사상 최초로 53만명 이상의 관람객이 몰렸다. 이는 전시산업이 대국민 홍보의 장과 동시에 자국의 경제력을 온 세계에 과시할 수 있는 국위 선양의 장으로도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참고자료

김학민, 《무역60년사》무역협회, 2006
조윤실, 〈무역박람회 관람객의 지출결정요인에 관한 연구〉한국컨벤션학회, 2004

집필자
김학민(경희대학교 무역학부 조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종 주제 수정
2006.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