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환경

환경교육 및 홍보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환경정책기본법」

배경

환경교육은 단지 환경보전 활동만이 아니라, 환경에 대한 바른 이해와 환경문제의 실상을 파악하며, 궁극적으로는 쾌적한 환경의 질 향상을 위한 인식 및 태도 고취와 실천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환경교육은 포괄적인 내용을 가지고 다양한 방법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교육은 약 반세기 전부터 유럽과 아메리카의 선진공업국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1970년대 이후 UNESCO와 UNEP등 국제기구의 노력과 더불어 세계 주요국이 관심을 가지고 서로 상호정보교환을 통해 발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환경교육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기 시작하여 현재에는 학교 환경교육 뿐만 아니라 사회환경교육으로까지 발전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1970년대부터 자연보호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와 주도에 의해 자연보호운동이 조직적으로 전개되었다. 1973년에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이 설치되면서 환경(과학)대학원과 대학에 관련학과들이 증가하게 되었다. 학부수준에서 환경전문교육을 행하는 학과가 생긴 것은 1980년대 이후로 건국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인하대학교, 아주대학교, 조선대학교 등이 환경관련 학과를 개설하였다. 또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환경교육연구실을 설치하고 한국환경교육학회가 설립되었으며, 1992년 중고등학교에서 환경과목을 설치하는 등 학교환경교육과 사회교육이 고루 발전하게 되었다. 


한편, 환경홍보활동은 환경의 중요성을 널리 알린다는 점에서 환경교육과 공통점을 지닌다. 정부는 환경보전 홍보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일상생활에서 가장 쉽고 빈번하게 접할 수 있는 대중매체를 통해 각종 다큐멘터리, 포스터 등을 선보였으며 세계 환경의 날을 맞이하여 매년 환경의 날 기념행사도 개최하고 있다.

내용

1. 환경교육의 추진체계
환경교육은 크게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으로 나누어진다. 학교환경교육은 학생에 대한 환경교육과 교사에 대한 환경교육으로 세분할 수 있으며, 사회환경교육은 환경공무원 및 환경 분야 종사자의 전문지식을 강화하기 위한 전문교육과 일반시민 및 청소년들의 환경의식을 높여 주고 환경보전 실천행동을 이끌어 내기 위한 소양교육으로 분류할 수 있다. 환경교육의 분류를 도식화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그림 1> 환경교육의 분류


환경교육




































학교교육









사회교육




































교육대상

학 생


교 사


환경전문인


일반시민·청소년














유 치 원
초등학교
중 학 교
고등학교
대 학 교


교원연수원 교원양성대학
국립환경연구원


국립환경연구원
환경보전협회 환경관리공단


유역(지방)환경청
민간환경단체
공공교육기관














‧중학교선택 과목(1995)
‧고등학교선택 과목
(1996)
‧대학교(전공)
‧시범학교운영
‧학교특별활동(환경교실)


‧환경교사연수 과정
‧“환경”부전공교사연수
‧환경관련교직과정
‧학교환경교육정책과정


‧공무원 전문교육과정
‧방지시설업 등의기술인력 전문과정
‧환경관리인 교육과정
‧수처리시설 운영요원과정

‧명예환경감시원 소양
교육
‧주부 등 일반 시민 강좌
‧청소년 체험환 경교육
‧환경교육․홍보단 운영


2. 환경홍보
환경보전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국민의 자발적인 협조와 이해가 바탕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일반대중의 자발적인 참여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환경오염 실상, 각종 환경시책 등 환경정보를 공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TV 라디오, 신문, 잡지 기고 홍보물 제작, 배포, 환경보전 홍보드라마 방영, 환경보전 홍보시리즈에 대한 제작지원을 제공하고 있으며, 환경보전의 다양한 홍보활동을 위해 기업체 사보나 회보를 통한 환경보전 홍보 등을 병행하고 있다.

참고자료

《한국 환경 50년사》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996
《환경백서》, 2006

집필자
강상인(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종 주제 수정
2006. 12. 01